정부와 환경단체들이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는 새만금사업이 우리나라의 해외시장 확대라는 의미를 지닌다는 주장이 중국 학자에 의해 제기됐다.
1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진펑쥔 중국과학원 교수는 이날 경기도 안양시 국토연구원 강당에서 열린 `대규모 간척용지의 장기활용 방향모색을 위한 국제 세미나'에참석, `황해권 시대의 새만금 역할과 기능'을 주제로 이같이 발표했다.
진 교수는 "황해권의 중국 지역은 국토의 15%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42.5%,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새만금 사업을 중국시장과 연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진 교수는 이어 "새만금지역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중국 해안 도시가 있고 세계 교역량의 25%가 이뤄지고 있는 황해권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환경문제에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니시 다카시 일본 도쿄대학교 교수는 `대규모 토지개발에 대한 바람직한 개발방식과 고려사항'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대규모 개발사업은 경제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며 "기반시설, 자금조달, 환경관리 등 부문별 계획을 치밀하게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세거렌 윌 유럽연합(EU) 상.하수처리기술위원회 위원장은 네덜란드의 친환경적간척지 조성 사례를 소개하고 환경 대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2월 서울행정법원이 새만금 사업계획 취소 청구소송에서 사업계획을 변경하거나 취소하라는 판결을 내리자 항소장을 제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