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깐깐한 전주이야기 ‘전주역사실’
전주역사박물관 상설전시. 역사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구석기시대의 전주’와 ‘후백제시대의 전주’에 포커스를 맞춘 것이 특징이다. 전주지역 역사를 구석기시대로 앞당기고 후백제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혔다.
△ 철산 이정훈전
2006년 1월 6일까지 수갤러리. 한국화가 철산 이정훈 초대전. 지필묵에 관한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출. 자연의 외관에 연연하지 않는 추상 어법을 볼 수 있다.
△ 2006 빛나무 새해맞이
2006년 1월 15일까지 전북도립미술관. 도립미술관 광장에 서 있는 스무그루의 나무가 다양한 형상의 ‘겨울 빛나무’로 변신했다. 2006년 병술년을 상징하는 조형물 ‘사람과 개’도 볼거리. 올해 닭을 만들어 전시했던 조각가 강용면씨가 개띠해를 맞아 개를 테마로 만든 작품이다.
△ 김두해 이흥재 선기현
29일까지 전주예치과. 색과 색, 작품과 작품, 사람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모습을 전달하고 싶었다는 이들의 즐거운 3인전. 올해가 18년째다. 서양화와 사진이란 장르는 다르지만 회화성이 강조된 작품들이다.
△ 김춘수 개인전
2006년 1월 30일까지 롯데백화점 전주점 오스갤러리. 김춘수 서울대 교수가 전주에서 여는 첫 개인전이다. ‘희고 푸르게’란 작품 제목처럼 그의 그림은 온통 푸른색과 흰색이 생동감있게 어우러져 있다.
△ 미술로 보는 판소리 다섯바탕
2006년 2월 28일까지 전주역사박물관. 지난 10월 ‘2005문화의달 기념행사’로 기획됐던 전시를 다시한번 볼 수 있다. 세계무형문화유산인 판소리 다섯바탕을 42명의 작가가 미술로 풀어냈다.
△ 미술로 본 한국근대
2006년 2월 5일까지 전북도립미술관. 1900년대 초부터 1960년대 까지 한국미술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근·현대 양식사 중심으로 다뤄졌던 기존 전시와 달리, 사회·문화사적 맥락에서 접근한 것이 특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