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 완주군 조촌면에는/내가 미처 자르고 오지 못한/탯줄이 살아서 숨쉬고 있다/(중략)/일곱살 적에 떠나 온/내 고향 조촌면 감수리에는/언제라도 날 일곱살이 되게 하는/태반이 살아서 숨쉬고 있다/(중략)/내 고향 완주군 조촌면에는/언제라도 내게 양식을 잇대주는/붉은 진흙이 만경벌에 널려있고/고구마를 삶아주던 내 어머니의/붉은 태반이 살아서 숨쉬고
있다.
우리 고장 출신 유혜목시인의 '내 고향'이라는 시는 고향을 잊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문득 '고향의 의미'를 일깨우게 한다. 바쁘다는 핑계로, 삶이 고단하다는 구실로 애써 고향을 외면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억지 실향민들에게 가슴 찡한 메세지를 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사실 외지로 떠난 출향민들 중 마음 속에 아직 고향 묻어두고 사는 사람이 몇이나 되는지 의문이다. 명절에 귀향을 하거나, 어쩌다 볼 일이 있어 고향을 찾는 사람들까지도 그간 고향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무런 관심이 없이 용무가 끝나기가 무섭게 발길을 되돌리기에 하는 말이다.
그래도 가끔씩 고향에 들러 인연의 끈이라도 놓지않는 사람은 괜찮다. 아예 절연을 하고 사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물론 부모 세상 떠나고 땅 한 평 남아있지 않은데 고향 찾을 일이 얼마나 있겠는가마는, 유 시인의 싯구마따나 어머니의 붉은 태반이 살아 숨쉬고 있는데 매정하게 그럴 수는 없는 거다.
절연만 하고 무관심하게 살아가는 사람은 그렇다고 치자. 본적조차 통째로 옮겨버리고 고향 말만 나오면 두 손 절레절레 흔드는 위인들도 있다. 요즘이사 특별히 권력 눈치볼 일이 없어 본적 파 옮기는 사람이 드물기는 하지만, 과거 경상도정권 시절에는 출세에 지장이 있다 해서 호적 정리해버린 사람이 어디 한둘이었는가.
고향에 폭설이 내리고 홍수가 나서 이재민이 쏟아지는데도 고개 한번 내밀지 않던 사람들이, 농촌이 비참하게 무너져내리는데도 소 닭보듯 하던 사람들이 고향을 위해 일하겠다고 목청을 돋우고 있다. 뻔뻔하기로 치면 두번째 가라 해도 서러워 할 사람들이 정치인이라지만 이건 정말 양심불량이다. 한번 물어보자. 아쉬울 때만 써먹는 게 고향이냐고. 그리고 고향 사람들은 모두 건망증 환자인 줄 아느냐고.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