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농악을 끈으로 맺어진 전국 농악인들이 10일 서울 한강시민공원 뚝섬유원지 뱃머리광장에 한데 모여 ‘2006 고창굿 한마당’을 풀어낸다.
이날 한마당 행사에는 고창지역 풍물패는 물론 고창굿을 전수받은 서울지역 대학생과 사회단체 풍물패들이 대거 참여한다. 행사를 주최하는 <사> 고창농악보존회는 “고창군 14개 읍면 농악단, 관내 초·중·고 풍물패, 동리국악당 농악반, 고창풍물굿 대학생연합 30개 풍물패, 전취모·터울리·살판·삶터 등 사회단체 풍물패 등이 한자리에 모인다”고 밝혔다. 사>
올 행사 주제는 '세대와 지역을 아울러 하나 되는 축제 굿판'. 고창농악보존회는 “문화의 중심지인 서울에서 풍물굿을 벌이며 300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고창농악을 올곧게 계승 발전시키고, 고창굿을 매개체로 세대간 벽을 허물어 나가는데 행사의 초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고창굿 한마당은 여는굿판 노는굿판 닫는굿판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마당밟기와 덕담풀이로 시작된 여는굿판은 참여자들을 노는굿판으로 이끈다. 고창농악보존회는 “주요 행사인 노는굿판은 줄굿, 참여하는 굿판, 줄다리기, 오방돌기와 당산옷 입히기, 당산제, 참여하는 굿판 등으로 꾸며진다”고 말했다.
고창굿을 전수 받은 대학생들과 일반인들이 이날 굿판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주최측은 “대학생과 사회단체 풍물패들이 판굿 잡색춤 고깔고소춤 설장고 설북놀이 등 다양한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창농악보존회는 1989년 고창농악단을 결성한 이후 고창농악의 원형을 되살리고, 후대에 전승하는 작업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