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교육 문화 등 최고 수준의 생활환경과 농업생명의 허브컨셉을 살린 ‘명품 도시’로 만들겠다” 전북도와 토지공사가 대내외에 천명한 혁신도시 구상이다.
전주·완주 혁신도시는 전국 10개 혁신도시중 가장 먼저 협약체결이 이뤄지고 모델케이스로 선정된 곳이다. 그 결과 대통령이 참석하는 전국 보고대회를 전북에서 열었고 성경륭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이 전북을 벤치마킹하라며 다른 지역 혁신도시 관계자들을 다그친 것도 엊그제다.
호사다마(好事多魔)라던가. 가장 앞서가던 전북의 혁신도시 작업이 이젠 가장 뒤쳐져 있다. 경북 김천과 강원 원주, 광주광역시 및 전남 나주, 충북 음성·진천, 경남 진주, 부산 대연 등 6개 혁신도시는 이미 지구지정을 마쳤다. 하지만 전북은 하세월이다. '3월-지구지정 완료, 5월-토지보상 착수, 12월-착공' 등의 일정이 마련됐지만 5월중 토지보상은 물건너 가고 연내 착공도 힘들다. 정부 부처에서는 갈등의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전북을 혁신도시 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 5.31지방선거 이후 불과 몇개월 사이에 정반대의 상황이 돼버린 것이다.
왜 이 지경에 이르렀는가. 혁신도시면적과 도시용지 배치, 보상, 개발계획안 등을 놓고 갈팡질팡한 탓이다. 이러저러한 요구가 불거질 때마다 전북도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휘둘린 결과다. 일관성 없이 ‘그때 그때 달라요’ 식의 행정이 민-민, 관-관 갈등을 깊게 만들고 있다.
혁신도시 사업 주체인 토지공사는 전주시와 완주군의 눈치를 보며 시계 추 처럼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 전북도를 비웃고 있다. 나아가 보상비와 사업비를 댈 돈줄 기관이 일체의 사업절차를 진행치 않겠다고 나서는 판이다. 겨우 착공식만 치르고 흐지부지될 공산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누가 손해 볼 것인지는 불보듯 뻔하다. 이러다간 ‘명품 혁신도시’는 커녕 ‘누더기 혁신도시’가 될지도 모른다.
“서울에서 30년 넘게 살며 고향발전을 바라는 사람입니다… 지역 이기주의가 너무 심하고 개인주의에 팽배해 있는 고향분들을 보면 울화가 치밉니다. 전주니 완주니 티격태격 싸우는 모습이 한심합니다” 김완주 도지사와 송하진 전주시장, 임정엽 완주군수가 새겨야 할, 전북일보 혁신도시 기사에 대한 댓글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