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북 부안에서 만들어졌던 고려청자가 실크 로드를 거쳐 유라시아 대륙에까지 전파되었다는 새로운 사실은 우리 선조들이 우리가 생각했던 이상의 열린 공간속에서 삶을 자유롭게 이어 갔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우리가 만든 도자기들을 유럽까지 운반케한 실크로드(Silk Road)는 독일의 지리학자였던 리히트호벤이라는 사람이 독일어로 Seidenstrassen(絹街道: 비단길)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데서 나온말이다. 이길을 통해 고대 중국의 주특산물 이었던 비단이 서쪽으로 운반되었던데서 우리말로는 비단길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중국 한(漢)나라 시대에 타림분지 주변의 오아시스를 지나서 파미르 고원을 넘어 중국과 서방을 연결하고 있었던 길을 가르키는데 동서(東西)교통로라는 뜻으로 확대해석하여 서아시아에서 로마에 이르는 길과 스텝을 지나는 길(초원길)과 해상교통로 (바딧길)까지 이안에 포함시킨다. 서남 아시아에서는 이미 B C 6세기에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가 동쪽은 서투르키스탄에서 서쪽은 소아시아 반도에 이르는 영역을 지배하였고 B C 4세기 무렵에는 알랙산드로스 대왕이 지중해 동부에서 인더스강까지 지배하는등 일찍부터 정치적 통일과 함께 서남아시아라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실크로드 (비단길)는 중국 사서(史書)에 정식으로 기록되기 이전부터도 통하고 있었다. 서방과 정식으로 교통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의 한무제(漢武帝)의 명령에 의해 장건이라는 사람이 중앙 아시아에 파견된 뒤부터였다. 그의 여행을 계기로 서역(西域)이라는 중앙 아시아 여려 나라와 국교가 열리게 되었다.또 여행가 마르코폴로가 쓴 ‘동방견문록’의 많은 부분이 실크로드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서는 비단 ,주철 기술 ,양잠, 제지법, 화법등이 서방으로 전해졌고 서쪽으로부터는 포도 석류, 비파, 무용, 요술,을 비롯하여 조로아스터교 ,이슬람교,신라에까지 전해졌다는 네스토리우수파,불교가 전해졌다.
이처럼 실크로드는 세계 최고문화의 용접지대였다.부안에서 생산했던 도자기가 이 실크로드를 타고 유럽에까지 전해졌다는 것이 다시한번 감회를 새롭게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