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식물종·특산식물 다수 서식
전주시 경계를 둘러싸고 있는 외곽 산림 생태축의 주요 구간인 '학산'에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과 한국특산식물 다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등산객의 증가로 인해 황폐화 되고 있는 학산의 보존과 체계적인 관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민행동21은 19일 전주 자연생태박물관에서 '전주시 학산 생태.문화.역사자원 조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그간의 조사내용을 공개했다. 공개 내용에 따르면 학산에는 모두 275종류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이중 피자식물이 221종(93.1%)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한반도의 자연환경에서 적응 진화과정을 거친 우리나라에만 유일하게 분포하는 독특한 식물인 한국특산식물 다수가 식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산에서 발견된 한국특산식물로는 은수원사시나무, 털조록싸리, 네잎갈퀴나물, 민땅비싸리, 병꽃나무 등 6종이다.
또 환경부에서 지난 1999년 5개 등급으로 구분해 우리나라 4200여종의 관속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인 등나무, 새박, 털괴불나무를 비롯해 늦고사리삼, 쇠고비, 홀아비꽃대 등 15종류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생태적 가치가 높음을 보여줬다.
뿐만 아니라 학산에는 졸참나무군락, 물오리나무군락 등 자연림과 은수원사시나무군락, 밤나무-사방오리군락 등 인공림이 적절하게 공존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고산성으로부터 전주천으로 유입되는 실개천이 현재 가뭄으로 인해 메말라 있고, 일부에서는 부유물과 은행껍질 등이 방치돼 악취를 유발하고 있어 보존대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인 맹꽁이가 남고산성 주변에서 목격되고, 천연기념물 제 328호이면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인 하늘다람쥐가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변무섭 전북대 조경학과 교수는 "짧은 기간 이지만 조사를 통해 학산이 갖고 있는 생태.문화 등의 가치를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며 "조사가 마무리 된 후 학산의 가치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통해 보존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