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극심 전주천 주변 생활·축산 폐수 유입
전주지역의 수질오염 농도가 최근 극심한 가뭄과 허술한 수질관리 등으로 애초 목표만큼 떨어지지 않으면서 향후 지역발전을 저해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12일 전북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의 '전주시 수질오염총량제 이행평가 용역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수질오염을 측정하는 전주A와 만경A, 만경B 등 3개 단위유역 중 2개 유역의 수질농도가 애초보다 오히려 높아졌거나,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았다.
시와 환경부는 지난 2006년, 수질측정을 위한 3개 단위유역과 각각의 목표수질을 정한 뒤 이를 초과하면 개발사업을 제한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계획을 수립했다.
이중 만경강 B유역의 경우 지난해 수질농도(BOD기준)가 6.1ppm으로, 2005년 4.9ppm보다 악화됐다. 이 유역은 2011년까지 목표수질 4.2ppm을 달성해야 한다.
전주 A유역은 지난 2005년 9.3ppm에서 지난해 6.7ppm으로 수질농도가 호전됐으나, 아직까지 목표수질 5.9ppm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주지역 수질오염농도가 떨어지지 않은 것은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에서 연유하고 있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설명.
전주기상대에 따르면 전주지역 연 강수량은 지난 2005년 1390mm에서 2006년 1187mm, 2007년 1471mm, 지난해 1000mm 등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또 만경강이나 전주천, 삼천 주변에서 농업, 축산, 생활관련 폐수가 계속 흘러들면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향후 지역발전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시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가뭄으로 수질오염이 가속화되는 추세다"라며 "보다 적극적으로 오염총량을 줄여나가도록 관리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 A유역에는 효자동·삼천동·서신동·중화산동·평화동 등이, 만경 A유역은 우아동·인후동 등이, 만경 B유역은 조촌동·송천2동··팔복동 등이 대표적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