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지난달까지 16건
영농철을 맞아 논밭두렁을 태우던 불길이 임야 화재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
봄이 되면 농가에서는 농지의 마른 풀을 정리하고 겨울철을 넘긴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논밭두렁을 태워 영농을 준비한다. 하지만 2007년 도 농업기술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임야를 태우는 것은 방제 효과가 거의 없고 되레 천적을 없애 병해충의 확산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과에도 농가에서는 계속해서 논밭두렁을 태우고 있어 산불로 이어지는 등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18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임야화재 총 185건 중 논밭두렁 화재는 97건(52.4%)으로 특히 2~4월에 76건(61.8%)으로 집계돼 화재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8일 정읍의 한 야산에서 밭두렁을 소각하던 불이 인근 산으로 옮겨 붙으면서 임야 880㎡를 태우는 등 올해 2월까지 임야화재만 16건에 달하고 있다.
잦은 논밭두렁 화재 신고로 인해 파생되는 부수적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소방차가 출동한 사이 건물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초동대처가 늦어지고 자칫 큰 불로 이어져 인명과 재산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논밭두렁 연기를 화재로 오인 신고한 경우 출동 차량이나 장비 사용 등 소방력 운영에 따른 예산 낭비도 피할 수 없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도민들이 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소방본부 최길웅 주임은 "봄철은 날씨가 건조하기 때문에 논밭두렁 불이 큰 산불로 번질 위험이 높은 시기"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