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총량제 범위 위협...전라선복선화 등 영향 전망
전주지역의 수질농도가 허술한 수질관리 등으로 좀처럼 호전되지 않고 있으나, 대규모 개발사업은 계속 진행되고 있어 향후 지역발전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수질오염총량제'가 도입됨으로써 앞으로 수질농도가 오염총량을 벗어나게 되면 지역 현안사업이나 지역 발전사업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6일 전주시의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08년 이행평가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전주시의 일부 소유역 수질오염농도가 할당량을 초과, 저감시설 확충 등을 통한 삭감계획을 반드시 수립 실행해야 한다.
이번 최종보고서 조사에서 지난해 전주 A유역과 만경 B유역의 수질농도는 20개 단위유역 중 절반인 10개 단위유역에서 배출량이 예측량을 넘어섰다.
전주 A유역은 교동, 남노송동 등 구도심 중심의 6개 유역에서, 만경 B유역은 조촌동 등 농촌동 중심의 4개 유역에서 애초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오염물질이 배출됐다.
전체적으로 전주 A유역과 만경 B유역에서 각각 1일 6128kg과 733.2kg이 배출, 할당량인 6810kg과 737.4kg 내에 들어왔지만 언제든지 초과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정이 이런데도 불구, 이들 지역에서 추가개발이 협의된 개발사업건수가 무려 62건으로 드러나 향후 지역발전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전주 A유역의 경우 전라선복선전철화사업 등 총 52건의 개발사업이, 만경 B유역에서는 만성동 법조타운 등 10건의 개발사업이 대기하고 있다.
대규모 건축물이나 도로 등 기반시설을 중심으로 한 개발사업이 진행되면 이들 지역에서의 오염 부하량은 자동적으로 늘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이 보고서는 이들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전주 A유역은 131.33kg, 만경 B유역은 59.33kg의 오염 부하량이 늘어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목표연도인 오는 2010년까지 전주 A유역과 만경 B유역 허용용량인 각각 6088.5kg과 761.4kg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며, 정부는 수질오염총량을 넘어서는 범위에서의 개발행위는 아예 차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가뭄과 온난화 등으로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있다”며 "각종 시설보완과 강력단속 등으로 이를 반드시 해결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