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알리아 아트스페이스 '감성론'展
권오상, 이동기, 이수경, 이환권, 정연두, 신기운, 홍경택.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잘나가는' 작가 7명이 한 곳에서 만났다.
삼성동 인터알리아 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리고 있는 '감성론' 전은 국내 컨템포러리 미술을 이끌어가고 있는 이들 7명의 작품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종합선물세트' 같은 느낌의 전시다.
전시는 대부분 기존 발표작들로 꾸며졌다.
권오상(35)은 친구와 가족의 사진 수백장을 찍은 뒤 이를 조각조각 잘라 인체 모양의 스티로폼에 이어 붙인 '데오도란트 타입'과 잡지에서 오려낸 보석과 시계 사진을 세우고 찍은 '더 플랫' 시리즈 등을 선보인다.
홍경택(41)은 화면 가운데에는 유명인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배경에는 해당 인물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문양과 색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는 '펑케스트라' 시리즈와 2008년 개인전 때도 선보였던 '아트 북' 작품을 내놨다.
또 신기운(33)은 체스의 말을 연마기로 갈아 없애는 장면을 담은 영상 작업과 잔에 담긴 물이 증발하면서 물을 통해 비치던 주변 경관도 함께 사라지는 과정을 거꾸로 재연한 작업을, 이수경(46)은 도자공들이 깨버린 조각들을 이어 붙이고 이음매를 금빛으로 칠한 '번역된 도자기' 시리즈 등을 선보인다.
정연두(40)는 기존의 사진작업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영상 작업 '시네 매지션'(Cine Magician)을 소개한다.
소극장 무대에서 공연하는 마술사 이은결과 그를 둘러싼 스태프, 이를 지켜보는 관객들, 그리고 공연 장면을 찍는 한 대의 카메라의 모습을 모두 담아낸 영상은 현장성을 강조하는 연극과 편집된 영상인 영화의 요소를 동시에 갖는다.
정연두는 "이번 작품은 그 자체로 완결된 작품이라기보다는 8월과 11월 일본 요코하마와 미국 뉴욕에서 선보일 작업의 예고편 격"이라고 설명했다.
'아토마우스' 작가 이동기(42)와 세로로 길게 늘인 인물 조각을 해온 이환권(35)은 지난해부터 시도하고 있는 새로운 시리즈를 보여준다.
이동기는 화면을 가로로 나눠 위쪽에는 물감과 붓 자국만 남은 추상회화를, 아래쪽에는 아토마우스를 그리는 형태의 새로운 그림을 선보이고 이환권은 가로로 납작하게 눌린 인물 조각으로 가족을 표현한 '장독대' 시리즈를 전시한다. 이환권은 25일부터 청담동 카이스 갤러리에서 개인전도 열 예정이다.
전시는 다음 달 16일까지 계속된다. ☎ 02-3479-0146.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