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업체 전주 이전 문의 쇄도…더딘 첨단복합단지 조성 진행에 차질
전주시에 탄소분야를 중심으로 외지 업체들의 이전문의가 쇄도하고 있지만 전주시가 첨단산업단지 등 산업단지 확보작업에 수동적으로 대응, 이들 기업 유치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날 탄소산업 관련 기업 투자설명회에 참여한 업체를 비롯해 30여개 업체들이 신규투자나 기업이전을 위해 부지 마련을 요청해 왔다.
이날 투자설명회 참여업체 중 10여개가 탄소산업 클러스터와 투자지원금(최고 100억원) 등 탄소 인프라에 호감을 보이며 즉석에서 투자의사를 내비쳤다.
특히 경기도 화성 소재 '협진 아이엔씨'와 부천 소재 '태창 NET' 등 부품소재 관련 8개 업체들은 다음달 전주시와 기업이전 투자협약(MOU)을 체결키로 약속했다.
이에앞서 두산인프라코어와 관련된 엔진 부품업체 20여개사가 집단으로 이전하기 위해 전주시에 대규모 부지를 물색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팔복동 공무원교육원 부지에 입주예정인 NPP(뉴파워프리즈마)가 국내 굴지의 전자제품 생산업체인 L그룹과 신규투자를 위해 부지 3만∼6만㎡를 마련해 줄 것을 주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주에 탄소 등 첨단산업 R&D(연구개발) 기능이 갖춰졌기 때문으로, 갈수록 외지 업체들의 집단이전 압력이 거세질 전망이다.
하지만 시가 기업유치를 위해 마련하고 있는 친환경 첨단 복합단지 조성사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기업유치 차질 등이 지적되고 있다.
시와 대한주택공사가 조성하는 친환경 첨단복합단지는 1단계(29만㎡) 구간이 내년 말 완공되며, 이미 21개 업체가 입주협약을 체결하는 등 포화상태다.
따라서 2단계(23만2000㎡)와 3단계(181만7000㎡) 사업의 조기개발이 다급한 상황이지만, 행정절차 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대규모로 조성되는 3단계사업은 1·2단계의 분양여부를 지켜본 뒤나 추진될 계획이어서 전주시 기업유치에 적신호가 켜졌다.
전주에는 친환경 첨단복합단지 외에 기업을 집단으로 유치할 만한 산업단지가 전무하다.
시 관계자는 "사업 시행자인 주공측이 입주수요를 지켜보기 때문이다"라며 "첨단복합단지를 조기에 조성하도록 유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