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의식 확립·지도단속 강화·소비자 주의 이뤄져야
화장실에 다녀오고 담배를 피우고 난 뒤 바로 참치를 자르는 손, 손님이 남긴 잔반을 다시 '정리'해 내어놓는 식당. 돈을 거슬러 주고 바로 음식을 조리하는 노점, 한여름 찜통인 중식당 주방에서 덮개가 없는 채 놓여있는 식재료 등 우리네 밥상을 위협하는 상황은 비일비재하다.
본보는 그동안 12차례에 걸쳐 이와 관련 여름철 먹을거리의 안전에 대해 점검해보았다. 일각에서는 '그런 거 다 따지면 뭘 먹어냐 하나'라는 푸념도 들렸다. '맛의 고장'에서 차려진 밥상 뒤에는 드러나지 않는 위생의 사각지대가 자리하는 만큼 종사자의 위생 의식, 행정기관의 지도단속 강화, 소비자의 주의라는 3박자가 화음을 이뤄야 안전한 밥상이 가능하다는 게 관계자들이 지적이다.
도에 따르면 관내에는 휴게음식점 2803개·일반음식점 1만9850개·유흥주점 1111개·집단급식소 1632개 등 식품접객업소는 2만6585개에 달한다. 하지만 지난 1분기에 7485건의 감시활동을 했다.
모든 음식점이 점검을 받지 않는 만큼 위생의 사각지대가 나올 수밖에 없다. 도 관계자는 식약청·도청·각 자치단체 등에서 연중 수시로 점검한다는 말뿐 업종당 구체적으로 몇 차례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식품위생 감시원 40여명, 민간인 소비자감시원 약 160명이 지도 단속활동을 벌이고 있는 상황인 만큼 시기에 따라 특정 업종을 집중 점검하는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
감시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는 그야말로 속수무책이었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배달전문 야식업체의 직원 김모씨(28·전주시 인후동)는 "배달음식은 먹을 게 못 된다"고 고백하기도 했으며, 여름철 별미인 보신탕은 적용 식품 관련 규정이 없어 위생상태를 점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소비자 식품위생 감시단으로 활동한 한 주부는 "주방에서는 정해진 시간 안에 음식을 만들어내야 하는 만큼 양념 용기 뚜껑 없이 사용하는 등 청결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면서 "관과 민의 합동 점검은 인력 제한이 있는 만큼 업주의 위생개념을 확립하고 소비자도 식재료 보관 등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