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자체 등 공공공사 발주 기관들 예산절감 이유로
도내 지자체 등 상당수 발주기관들이 최근 공공공사를 발주하면서 사급자재를 적용, 건설업계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발주기관들은 예산절감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사급자재의 경우 관급자재보다 훨씬 비싸 건설업계의 수익성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발주된 상당수 공공공사에서 레미콘, 철근, 시멘트, 흄관 등 강재류 등이 사급자재로 분류되면서 자재조달 부담으로 업계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발주기관들은 소액공사일 경우 이들 자재를 관급으로 적용하지만, 공사금액이 클수록 사급자재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토목공사보다는 자재가 많이 소요되는 건축공사에서 이같은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발주기관들이 이처럼 사급으로 적용하는 것은 관급 적용때 자재의 적기 공급이 어렵고, 하자책임이 불분명한데다, 사급보다 예산이 더 소요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 공사가 당초 공사비의 70∼80%대에서 낙찰되고, 이럴 경우 사급자재도 20∼30% 저렴하게 구입해야 채산성이 맞는데, 오히려 사급자재가 관급보다 훨씬 더 고가에 거래돼 자재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업체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부 업체는 해당 자재를 관급으로 전환하기 위해 발주기관을 적극 설득하는가 하면, 자재를 조금이라도 싸게 구입하기 위해 현금으로 결제하면서 유동성 압박을 받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내 업계 한 관계자는 "발주기관에서 설계때 산정한 금액으로는 시중에서 자재를 살 수 없다. 더욱이 입찰과정에서 80% 안팎의 저가로 낙찰되는 점을 감안하면 설계가격보다 20∼30% 이상 비싼 가격에 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처럼 자재비가 폭등하면 수익성 악화를 넘어 적자공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관급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