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7:05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건·의료
일반기사

[생활과 건강] 가을철 건강관리

폐의 기능 맑고 왕성하게 만들어야 건강

아침 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날씨가 깊어가는 가을을 새삼 느끼게 한다. 예로부터 바쁘기는 하지만 가장 풍요롭고 즐거운 때가 추석을 전후한 지금 쯤이라고 했다. 그러나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예상하지 못했던 병이나 오래 전부터 불편했던 증상들이 더욱 심해지기라도 한다면 한시가 바쁜 때에 큰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최근에는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유행성 독감이 퍼지고 있어 불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가 된 것 같다.

 

여름에서 가을로 가는 시기와 가을이 깊어가는 요즘은 한방에서 말하는 음양(陰陽)의 변화가 일 년 중 가장 커서 사람의 몸과 마음을 자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가을은 오장육부(五臟六腑) 중 폐(肺)에 해당하는 계절로 그 특징은 금(金)과 조(燥)의 기운이 강하여 기온차가 크고 서늘하며 건조한 공기가 가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피부와 몸은 수분(水分)과 진액(津液)을 쉽게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피부는 더욱 거칠어지고 폐기관지의 기능은 쉽게 손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을철을 잘 보내기 위해서는 폐의 기능을 맑고 왕성하게 만들어야 한다. 먼저 피로하지 않게 적절히 안정을 취해주면서 신선한 바깥 공기를 자주 접하고 드넓은 파란 하늘만큼이나 풍족한 음식을 신선한 상태에서 골고루 섭취해 줘야 한다.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계절이 이 때이므로 습도 또한 조절을 잘 해줘야 하며 체온 보호에도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이나 새벽에 외출할 때에는 앞뒤의 목을 잘 감싸 춥지 않도록 해야 하며, 빠른 걷기나 가볍게 뛰는 운동을 통해 신체의 기혈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집안은 낮에 환기를 자주 시켜주어 신선한 공기가 방안에 충분하도록 해주면 더욱 좋고, 하루 종일 방안에만 있는 것은 특히 가을철에 우울증이나 외로움을 가중(加重)시킬 수 있으므로 따뜻한 낮에 햇볕을 쬐면서 산책을 하는 것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가을은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고 몹시 추운 긴 겨울을 대비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체력이 떨어지지 않게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몸이 약한 분들은 체질에 맞는 한약을 복용해 준다면 건강한 겨울나기를 대비할 수 있고 내년의 활동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가을에 폐의 기운을 보강하고 수분과 진액을 보충해주는 약재를 이용한 차(茶)를 소개하면, 우선 달고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고 해독(解毒)기능이 있어 불면(不眠)이나 불안(不安), 기력저하(氣力低下)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대추차가 좋고, 손발과 아랫배가 차고 소화(消化)가 잘 되지 않으며 기력이 약한 경우에 생강과 계피를 섞은 차도 좋다. 진액을 풍부하게 만들어 주어 만성적인 기침이나 감기, 갈증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차도 있고, 비타민C가 풍부하고 감기예방과 피부미용 및 고혈압, 그리고 면역력 강화에 좋은 감잎차도 좋다.

 

또한 혈기(血氣) 보강에 좋고 몸을 가볍게 하며 위장(胃腸)을 편안하게 하고 감기와 두통 및 현기증 등에 효과적이면서 눈과 머리를 맑게 해 수험생에게 효과만점인 국화차도 있으니 이러한 차를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자주 마셔준다면 이 가을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송범용 교수(우석대한방병원 척추관절통증센터 침구과)

 

▲송범용 교수는

 

대한한방체열진단학회 이사 역임

 

현 우석대학교 한방병원 진료부장, 대한침구학회 평생회원,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 및 편집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