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3개안 비교…'보름달 구조' 보전성·접근성 탁월…경제성 '삼각주' 유리
지난 7월 발표된 새만금종합실천계획안에서 핵심전략지역으로 선정된 새만금 명품복합도시의 3개 디자인 가운데 방사형 구조(Sha-Ring City)는 수변도시로서의 이미지 창출에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의 측면에서는 보름달 구조(Full-Moon City)가 유리했고, 경제성 측면에서는 삼각주 구조(Delta City)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연구원 민범식 선임연구원은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만금 명품복합도시 국제심포지엄'에서 "3개의 디자인은 각각의 장점과 제약점이 모두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12월말 새만금 종합실천계획 확정을 앞두고 명품복합도시의 최종 디자인 선정을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에 나선 민 연구원은 3개 디자인을 △인간적 도시형성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개방적 교류도시 조성 △수변도시 이미지 창출 △조성비용 등 5개 항목으로 비교 분석했다.
인간적 도시형성 항목에서는 3개 디자인 모두 교류공간조성과 복합토지이용, 단계별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수질 보전성 측면에서는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곡선으로 이뤄진 보름달 구조가 가장 유리했으며, 그 다음으로 삼각주 구조가 꼽혔다. 그리고 넓은 수반을 조성하는 방사형 구조는 가장 불리한 것으로 제기됐다.
또한 방풍은 토지이용이 한 곳에 집중된 보름달 구조가 방사형 구조 보다 유리했고, 바람통로는 분산형인 방사형과 삼각주가 상대적으로 유리했다. 주요 기능간 접근성 측면에서는 중앙에 단일 중심지를 형성하는 보름달 구조가 가장 좋았으며, 중심 기능이 2개소로 분산된 방사형 구조가 가장 불리했다.
수변도시로서의 상징성 창출면에서는 수면이 도시의 중심부로 구성되어 있는 방사형 구조가 가장 강렬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수면을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삼각주 구조가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하천을 도시의 변두리로 구성한 보름달 구조는 가장 불리했다.
경제성과 관련, 토목공사비 부문에서는 3개 디자인 모두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축공사비에서는 개별 건축물 건축 과정에서의 기반암 깊이 차이로 삼각주 구조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고, 방사형 구조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제시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