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제일·KJ건설 2곳만 1832세대 계획…부동산 장기침체 영향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도내 주택건설업체들의 사업 기피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주택건설협회 전북도회에 따르면 지난 15일까지 도내 업체들을 대상으로 올해 사업계획을 접수한 결과, 제일건설과 케이제이건설 등 2개사만 총 1832세대를 건설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제일건설은 올해 익산시 모현동 택지개발지구에 102㎡이하 753세대, 전주 하가지구에 102∼135㎡ 319세대, 대전 유성구 학하지구에 102∼135㎡ 368세대와 135㎡초과 232세대 등 총 1672세대 건설을 계획중이다.
케이제이건설은 익산시 영등동 일대에 85㎡ 이하 160세대를 오는 8월께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같은 사업규모는 평년 1만여세대 안팎에 달하는 공급계획에 비해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최근 2∼3년 동안 도내 분양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건설업체들이 신규사업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국내 경기 및 부동산 경기가 빠른 시일내에 회복세로 전환하기 어렵다는 전망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분양시장이 빠른 시일내에 회복세를 전환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업계의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도 도내 업계에서는 (유)현대주택건설(614세대)과 (유)송정건설(770세대) 2개사가 총 1384세대를 공급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신규주택 건설 기피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주택 수급 불안정으로 인한 주택난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많다. 실제 지난해 전주·군산·익산 지역에서 매매값이 20% 이상 상승한 아파트가 적지 않은 가운데, 특히 중소형 아파트값이 매물 부족 등의 이유로 초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유형이다.
도내 주택건설업계 관계자는 "현 분양시장과 리스크 등을 감안하면 신규사업에 나서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아파트값 강세가 계속되고, 미분양 아파트가 소진되는 등 주택난이 현실화되면 신규사업을 추진하는 업체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