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체불에 '억지 운영' 문 닫을 판…환자들 타병원에 이송 대책마련 시급
경영난으로 전기공급이 끊기거나 문을 닫는 의료기관들이 속출하면서 환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요양병원 등에 입원중인 중증 환자들의 경우 치료와 간호 등 차질로 인한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주의 A요양병원은 넉달째 전기요금 체불로 인해 최근 전기 공급이 중단됐다.
지난해 10월(11월 납부)부터 올해 1월(2월 납부)까지 이용한 전기요금을 납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넉 달 동안 이용한 전기요금은 모두 2760여 만원. 전기요금을 석 달 이상 체불하면 전기 공급을 끊을 수 있는 한전이 병원측에 밝힌 최고 기간은 지난 26일까지였다.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병원측은 입원 중인 환자들 중 상태가 심각한 환자들부터 전주시내 다른 병원으로 나눠 이송했다.
이 병원은 결국 경매 처분돼 새 주인을 맞았지만 경매 낙찰자 역시 병원을 운영할 뜻이 없는 데다 이전 소유자의 채무가 승계되지 않기 때문에 한전에선 체불 요금을 받지 못해 분쟁소지가 여전히 남아있다.
전주시 효자동의 B병원도 전기요금을 납부하지 않아 단전될 위기에 처했다.
이 병원의 미납요금은 체납된 전기요금 1970여만 원과 납부 보증금 3500만 원으로 모두 5470여만 원에 달했다.
한차례 부도가 났던 이 병원은 현재 건물에 대한 경매가 다시 진행 중이다. 병원 관계자는 지난 25일 납부각서를 작성하고 어음공증을 통해 4월 30일까지 나눠 낼 것을 약속해 단전 위기를 면했다.
하지만 입원중인 120여명에 달하는 환자들은 병원이 경매로 넘어 가거나 다시 단전위기가 초래될 경우 진료 차질 등이 불가피해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실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병원들의 지나친 경쟁으로 수익이 나지 않아도 무리하게 운영하면서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며 "적절한 조치를 통해 환자들과 병원의 피해가 없는 방향으로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