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챔스리그
지난해 프로축구 K-리그 챔피언 결정전에서 맞붙었던 전북 현대와 성남 일화가 아시아 챔피언을 향해 힘찬 시동을 걸었다.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성남은 23일 성남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 J-리그의 강호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2010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32강) E조 개막전에서 전반 34분에 터진 몰리나의 선제골과 후반 32분에 나온 라돈치치의 추가골에 힘입어 2-0 승리를 낚았다.
이로써 성남은 AFC 챔피언스리그 개막전에서 승리를 신고하며 16강 진출 경쟁에서 한 발짝 앞서 나갔다.
성남은 가와사키, 베이징 궈안(중국), 멜버른 빅토리FC(호주)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리그를 벌이며 1, 2위가 16강에 오른다. 성남은 3월9일 멜버른과 2차전 원정경기를 벌인다.
성남은 경기 시작 5분 만에 오른쪽 페널티지역 외곽에서 몰리나가 왼발로 날카로운 크로스를 올리자 장신 수비수 사샤 오그네노프스키가 헤딩을 꽂았다. 그러나 공은 왼쪽 골대를 비켜갔다.
반격에 나선 가와사키의 공세도 매서웠다.
가와사키의 최전방 스트라이커로 나선 북한 대표팀의 간판 골잡이 정대세는 전반 14분 아크 정면에서 앞이 열리자 힘껏 오른발로 찼다. 그러나 골키퍼 정성룡이 안정감 있는 자세로 정대세의 슈팅을 잡아냈다.
초반 주도권을 잡고 공세의 수위를 높여가던 성남이 먼저 가와사키의 골문을 열어젖혔고 활발한 공격으로 문전을 두드리던 라돈치치와 몰리나가 선제골을 합작했다.
라돈치치는 전반 34분 왼쪽 페널티지역 외곽에서 상대 수비 숲을 헤치고 돌파한 뒤 앞서 문전으로 달려들어 가는 몰리나를 보고 스루패스를 찔러줬다. 몰리나는 강한 논스톱 왼발 슈팅을 날렸고 공은 그대로 반대편 골문을 꿰뚫었다. 라돈치치의 절묘한 어시스트와 몰리나의 빼어난 골 감각이 돋보였다.
1-0 리드를 안은 채 전반을 마친 성남은 후반 들어서도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으며 추가골을 뽑아냈다. 이번에도 몰리나와 라돈치치의 합작품이었다.
몰리나는 왼쪽 페널티지역 외곽을 파고든 뒤 수비수 사이로 땅볼 패스를 해줬고 왼쪽 골지역에 도사리던 라돈치치가 수비수를 등진 상태에서 몸을 틀며 왼발 터닝슛으로 골망을 흔들었다.
몰리나와 라돈치치는 이날 경기에서 나란히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안방 개막전 승리에 앞장섰고 국가대표 골키퍼 정성룡도 수차례 슈팅을 눈부신 선방으로 막아내는 '슈퍼 세이브'를 보여줬다.
반면 가와사키의 스트라이커 정대세는 한 차례 슈팅을 빼고는 이렇다 할 공격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설상가상으로 후반 31분에는 송호영과 볼을 경합하는 과정에서 거친 플레이로 옐로카드를 받아 고개를 숙였다.
지난 시즌 K-리그 챔피언 전북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F조 1차전 페르시푸라 자야푸라와 원정 경기에서 로브렉의 해트트릭을 앞세워 4-1로 크게 이겨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
전반 19분 외국인 선수 루이스가 얻어낸 페널티킥을 김승용이 침착하게 차넣어 기선을 잡은 전북은 10분 뒤에는 로브렉이 루이스가 상대 골문 왼쪽으로 올려준 공을 왼발슛으로 때려 두 번째 골을 터뜨렸다.
후반에는 페르시푸라의 반격이 매서웠다. 후반 2분 만에 정면에서 날린 슛을 골키퍼 권순태가 쳐냈고 이를 달려들던 에두아르드 이바크달람이 다시 한 번 강슛으로 연결했으나 골키퍼 정면에 막혔다.
이어 티누스 파에, 이바크달람, 이안 루이스 등이 돌아가며 전북의 문전을 위협했으나 살짝 빗나가거나 골키퍼가 잘 막아내 득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수세에 몰렸던 전북은 로브렉의 한 방으로 분위기를 한순간에 바꿔놨다. 후반 24분 역습에 나선 전북은 상대 수비가 걷어낸 공을 정면에서 로브렉이 잡아 그대로 오른발 강슛으로 3-0을 만들어 페르시푸라의 기세를 잠재웠다.
페르시푸라가 바로 이은 공격에서 루이스의 득점으로 한 골을 따라붙고 다시 맹렬한 반격에 나섰으나 이번에도 로브렉이 후반 38분 아크 정면에서 땅볼 슛으로 쐐기골을 뽑아냈다.
같은 조의 가시마 앤틀러스(일본)는 창춘 야타이(중국)와 홈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