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병 원인 50% 이상 흡연…혈뇨 보이면 의심을
방광암은 60~70대에 호발하며 남자에서 여자보다 3~4배 발생률이 높다. 방광암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암 중 10위,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5위의 발생빈도를 보인다.
방광암의 발생원인은 다른 암에서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 담배, 직업적요인, 오염된 환경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나프틸아민이라는 방향족아민이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염료, 고무가죽제품, 섬유, 페인트, 유기화학약품 등을 취급하는 직종에 근무하는 사람은 방광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작업장에서 첫 노출시기로부터 오랜 잠복기가 있으므로 많은 근로자들이 직업을 바꾸거나 은퇴한 후에 발병한다. 실제로 일반인에게는 흡연이 가장 큰 문제인데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4배 정도 많이 발생하며 흡연양, 흡연기간이 중요하고 방광암 환자의 50~80%는 담배 때문에 발생한다.
방광암의 가장 주된 증상은 무통성 육안적혈뇨로 환자의 85%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방광암이 있어도 혈뇨가 지속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고 간헐적 즉 몇 개월에 한 번씩 생길 수 있어 환자들이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과하여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또한 혈뇨의 정도는 암의 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혈뇨라도 발견이 되면 방광암을 의심해야 된다. 간혹 급뇨, 빈뇨 및 배뇨통과 같은 방광자극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은 보통 세균성방광염, 결핵성방광염, 또는 간질성방광염 등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나 과민성방광 환자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종양이 괴사를 일으키거나 결석 등을 동반하였을 때 또는 상피내암이 있을 때도 자극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요배양검사에서 균은 자라지 않으면서 현미경적혈뇨를 보이고 방광자극증상이 지속될 때는 반드시 방광암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방광암이 의심되면 방광경검사와 요세포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한다. 방광경검사는 요도를 통해 내시경기구를 삽입하여 방광 내부와 요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검사이며 환자에게 다소 고통이 동반되는 검사이다. 그래서 종양표지자검사,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지만 정확도가 낮아 방광경검사를 대체할 수 없다.
요세포검사는 방광경검사시에 방광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암세포가 있는지 알아보는 방법으로 상피내암이 있는 환자에서 민감도가 높다. 방광경검사에서 방광암이 진단되면 영상검사로 배설성요로조영술과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할 수 있지만 대부분에서는 방광경검사의 소견에 따라 생략을 하기도 한다.
방광암은 크게 표재성암(암의 뿌리가 깊지 않고 방광의 점막층이나 고유층에 국한)과 침윤성암(암이 방광의 근육층을 침범)으로 나눈다. 다행히도 방광암의 70~80%는 표재성암이지만 표재성암의 60~70%는 재발하며, 15~20%에서는 침윤성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방광암의 예방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금연하는 것이다. 발암물질에 노출되어 있는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는 가능한 노출을 줄이고 작업환경의 정화가 중요하다. 또한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빵, 곡물, 과일)과 비타민 A가 풍부한 녹황색 야채(상추, 시금치, 브로콜리), 감귤류의 섭취가 좋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에 주기적인 요검사를 시행하고 혈뇨가 있는 환자는 요로계통(신장과 방광)에 대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김형진(전북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김형진 교수는
전북의대 졸업, 전북대 의학석사, 전남대 의학박사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수
대한비뇨기과학회 학술상 수상
대한비뇨기과학회 상임이사
비뇨기종양학회 집행위원·재무이사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학술논문상 수상
The 4th Joint Conference of Korean Urological Oncology Society 우수학술논문상 수상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