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2:4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재·학술
일반기사

미륵사지석탑 출토 '청동합' 여니 4800여점 보물 가득

국립문화재硏 개봉 확인…백제 고위관리 입증 글자도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에서 지난해 출토된 백제 무왕시대 유물 중 원형합6점 중 4번 청동합 개봉 후 모습. 내부 개봉 결과 각종 보물이 출토됐다. (desk@jjan.kr)

지난해 1월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11호)에서 금동사리호(金銅舍利壺) 등과 함께 발견된 청동합(靑銅盒)이 보물로 가득 차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 따르면 발견 당시 청동합은 심한 외부 부식으로 인해 개봉을 미뤄왔으나 문화재보전과학센터가 보존처리를 실시하면서 국내에서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유물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봉한 청동합에는 구슬류를 비롯한 금제장식, 직물류 등 다양한 공양품이 들어 있었는데 특히 원형 청동합(靑銅盒) 뚜껑에서는 이것의 원래 주인이 당시 백제 고위관리였음을 입증하는 글자도 발견하게 됐다고 덧붙여 밝혔다.

 

청동합은 운두가 낮은 둥글넓적한 형태이며 모두 6점이다.

 

크기는 직경 5.9-8.3cm, 높이 3.2-4.6cm 정도인데, 주조(鑄造)로 제작됐다.

 

대부분의 합은 문양이 새겨져 있지 않았으나 6번 합에는 초화(草花)무늬와 당초(唐草)무늬가 새겨져 있었고, 1번 합 뚜껑에서는'상부달솔목근(上部達率目近)'이라고 음각된 명문이 드러나 있다.

 

글자를 새기는 작은 칼인 도자(刀子), 혹은 송곳 같은 날카로운 도구로 새긴 듯한 이 문구를 풀이해 볼 때 "상부(上部)에 사는(혹은 본적이 상부인) 달솔 벼슬에 있는 목근이라는 사람"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미륵사 석탑을 세울 때 달솔 목근이 시주한 공양품으로 판단된다.

 

상부는 당시 백제 서울 사비(부여)를 5개로 나눈 구역 중 북부를 의미하며 달솔은 모두 16등급으로 나뉜 백제 관직 중 2품에 속한다.

 

또한 청동합에서는 금제구슬 370여점을 비롯한 금제고리, 금제소형판 등 많은 양의 금제품과 유리구슬, 진주, 곡옥 등 총 4,800여점의 유물이 수습된 점으로 미뤄 보석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4번 합에서는 무려 4,400여점의 유물이 수습됐는데 1점의 곡옥은 채색된 금장식 모자가 씌워져 있는 것이 매우 이채롭다.

 

직물과 향분(香粉)으로 추정되는 유기물질 등도 이번에 확인된 가운데 금제구슬 등은 화사한 빛을 그대로 간직할 정도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향후 청동합과 수습 유물에 대한 본격적인 보존처리를 시작하여 수습된 금속, 유리류, 유기물 등에 대한 성분 분석과 제작기법 등 다각적인 조사연구도 병행 실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청동합과 그 수습 유물에 관한 1차적인 조사 내용을 27일부터 28일까지 양일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최하는 '미륵사 국제학술심포지엄'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엄철호 eomch@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