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5:41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현장 스케치②

"그때 승암산은 민둥산이었구먼"

(위부터)20대 젊은층들이 신기한 듯 옛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관람객들이 터치 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하여 전북일보 지면을 검색하고 있다, 전북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사진전에 참석한 주요 내빈들이 테이프 컷팅을 하고 있다. 이강민·추성수(desk@jjan.kr)

다사다난했던 전북의 60년 역사가 한 폭의 수채화처럼 사진으로 펼쳐져 있다. 굴곡의 역사를 온몸으로 부대끼며 살아온 이들은 시간여행을 하듯 천천히 한 컷, 한 컷 사진을 훑어봤다. 개인마다 갖고 있는 경험의 폭과 깊이만큼 사진 속에서 추억은 새록새록 피어났다.

 

전북일보 창간 60주년을 맞아 기획된 사진전 '전북의 자화상-60년의 기록, 역사를 말하다' 개막식이 열린 28일 오후 3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실.

 

김완주 지사를 비롯한 도내 시장·군수와 김춘진·신건·장세환 의원, 임병찬 전북도민일보 사장과 김광호 (주)흥건 회장 등 지역 인사 등은 '전북의 어제'를 봤다. 그리고 오늘과 내일을 함께 생각했다.

 

전북일보 60년 역사의 주역들은 더 큰 감회를 느꼈다. 진기풍 강암서예학술재단 고문, 김종량 전일회 회장, 김승일 전 완주신문 사장, 문치상 전 도립국악원장, 최공엽 대한적십자 전북지사 회장, 육완태 전 편집국장, 서정일 전북수영연맹 회장, 김재금 우석대 사무처장, 장세환 국회의원, 김영채 전 사진부장 등 전북일보 출신 인사들도 이날 사진전을 찾아 진한 향수를 느꼈다. 때로는 사진 앞에 멈춰서 깊은 상념에 빠지기도 했다.

 

"그래 저 터널로 기차가 다녔지. 그때 승암산은 아주 민둥산이었구먼."(한벽당 터널, 1969.11.1)

 

"곰티재에서 버스가 굴러 140m 낭떠러지로 떨어졌지만 저 모자만 기적같이 살았지요."(곰티재 사고 생존 모자, 1969.6.6)

 

"저기 있던 덕진연못은 없어졌지요. 그때는 나무가 저렇게 무성했는데요."(단옷날 풍경, 1965.6.4)

 

사진 한 컷마다 각자의 사연과 기억이 듬뿍 쏟아져 나왔다.

 

장세환 의원은 "저 사진 속에 제가 있네요, 그때는 장발이었죠"라며 금암동으로 사옥을 옮긴 뒤 첫 창간일에 찍은 기념사진을 보며 웃음을 터트렸다.

 

사람들은 이리역 폭발사고(1977.11.11)와 서해훼리호 참사(1993.10.13) 등을 보며 가슴 아파했고, 본보가 기획한 갖가지 생태사진과 새만금 사진 등을 보며 미소를 짓고 희망을 품었다.

 

김영기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집행위원장은 "전북의 60년 사진전은 전북일보만 할 수 있는 일이다"며 "80~90년대 투쟁하던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보니 그때 일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전북일보와 동갑으로 올해 60주년 행사를 치른 대전일보의 신수용 사장도 전시회를 찾았다.

 

신 사장은 "전북일보의 60년이 전북의 60년이라 할 정도로 전북역사의 산증인 역을 톡톡히 하고 있다"며 "이 사진들이 도민들에게 추억을 주고 자존심을 불러일으키는 만큼으로 도민 역시 지역의 대표신문 전북일보를 아끼고 사랑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시회장을 둘러보느라 북적거리는 틈바구니에서 누군가 말했다.

 

"이건 기록이기도 하지만 예술이라 말하는 게 더 걸맞겠네요."

 

60년에 걸쳐 일어난 도내 굵직한 사건과 사람들의 삶과 일상.그 속에서 피어난 기쁨 희망 아픔 슬픔을 담은 700여점의 사진은 다음달 8일까지 시민들의 발길을 기다린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임상훈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