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22:42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chevron_right 100세 칼럼
일반기사

밤새 잠 못 이루게하는 기침

 

얼마 전 육십이 조금 넘은 아주머니께서 젊은 며느리의 손을 잡고 진료실에 왔다.

 

날씨가 제법 따뜻해지면서 사람들이 가벼워진 옷차림으로 봄을 맞이하고 있었지만 이 아주머니는 여전히 두꺼운 겨울 외투에 두툼한 털목도리를 두르고, 약간 거친 숨을 몰아쉬고 있었다. 보호자에 의하면 한 달 전부터 시작된 기침이 지금까지 그치지 않고 계속 되는데, 특히 밤과 새벽에 기침이 심해서 옆방에서도 기침 소리가 들릴 정도라고 했다.

 

기침을 오래 하다 보니 기력도 떨어지고 입맛도 없으면서 입은 자꾸 마르고 식은땀도 흘린다고 말했다. 체격은 약간 마른편이였으며 평소에도 감기에 자주 걸리고 원래 입맛도 좋은 편은 아니었다고 한다. 진료실에 오기 전 내과에서 진료를 받고 가슴 엑스레이도 찍었지만 정상이었고 특별한 원인이 없다는 말만 들었다고 했다.

 

한의학적으로 아주머니를 진찰한 결과 몸 안의 진액 성분이 부족해져서 심한 기침이 발생하는 음허천(陰虛喘)이었고, 이에 해당하는 적절한 침구치료와 한약을 복용하게 했더니 잘 치료되었다.

 

허준 선생이 저술한 동의보감에는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기침을 효천증(哮喘證)이라 하였으며, 발생 원인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이 환자에 해당하는 음허천(陰虛喘)이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몸 안에 기(氣)와 혈(血)로 대표되는 음(陰)과 양(陽)이 내재되어 있다고 보고 있는데, 그 중에서 음에 해당하는 성분, 즉 몸을 부드럽게 해 주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진액 등의 체액 성분이 부족해지면 음허천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 몸 안에 있는 오장(五臟) 중에서 진액 등의 순환 및 조절을 담당하는 기관인 신장의 기운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발생한 허열이 호흡을 주관하는 폐장(肺臟)에 침범하여 호흡 운동에 무리를 주게 되면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다.

 

음허천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밤이나 새벽에 발작적인 기침을 연달아 하게 되며 입 안이 마르면서 갈증을 자주 느끼게 되고 기력이 떨어져 식은땀을 흘린다. 이 외에도 오후가 되면 주기적으로 열이 오르는 느낌이 생긴다거나 소변은 진한 노란 색을 띠고 변비가 오기도 한다.

 

음허천은 침구치료와 한약의 복용으로 치료할 수 있는데, 침구치료에는 신장의 기능을 조절해주는 태계(太溪)와 삼음교(三陰交), 폐장의 기능을 북돋아주는 폐수(肺輸)와 고황, 몸 안의 기혈 순환을 촉진시켜 주는 합곡(合谷)과 태충(太衝) 등의 혈을 선택하여 침 치료와 뜸 치료를 병행하여 주면 효과가 더 좋다.

 

음허천을 예방하려면 우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미 감기에 걸렸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적극적으로 휴식을 취하여 빨리 나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특히 찬바람을 많이 쐬거나 찬 음식을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하고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음허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성질이 따뜻하고 가래를 삭혀주는 생강이나 진액을 생성시켜주는 오미자나 구기자 등의 약재를 많이 사용하므로 평소에 생강, 오미자, 구기자 등을 차로 끓여서 마시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기침으로 인해 밤에 잠을 못 이룰 정도로 고통을 받고 있다면 당연히 내과 등을 찾아 그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한다. 한 상 건 (효사랑가족요양병원 한의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