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비 턱없고 개간비는 아예 지급 안해
정부가 추진 하고 있는 만경강 저산지구 하천환경 정비사업과 관련, 하천부지 경작자들이 확실한 생계대책을 요구하며 집단으로 반발 하고 나섰다.
만경강 저산지구 하천부지 경작자들인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 서원·동자마을 주민들은 "1950여년 부터 삽과 지게로 피땀흘려 농민들이 직접 하천부지를 개간, 오늘날까지 경작 하고 살아온 옥토를 정부는 단 한번의 협의도 없이 땅을 빼앗아 문화휴식공간을 만들겠다고 한다"면서 "우리 만경강 하천부지 경작 농민들은 1970∼80년대 식량부족으로 전 국민이 힘들어할때 죽을 힘을 다해 식량중산의 공을 세웠는데 이제 와서 땅을 빼앗아 가려는 것은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처사로, 만약 공사를 계획대로 하려거든 우리에게 상응하는 생계대책을 확실히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반유길(64) 만경강 하천부지 친환경 피놀농업 추진단 농민대표는 "현재 만경강 하천부지 일부 농지는 4년전 부터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특수 친환경 피놀 농법으로 농사를 지어 항암성 오메가-3 함유 고급 기능성 쌀을 생산 하고 있고, 친환경 인증까지 받아 고가로 학교급식에 지원 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특수농법으로 자연생태 하천을 유지하며 새만금 수질 보전에도 한 몫 톡톡히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4대강 사업과 같은 토목사업을 우리는 절대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각 지자체에서 휴식문화공간을 조성 하고 있으나 활용 수요가 극히 적고 유지보수비로 엄청난 국고 낭비를 초래 하고 있다"면서 "설마 이런 농지에 문화 휴식공간을 조성한다 해도 년중 2∼3차례 큰 홍수로 쓰레기와 오염물질로 완전히 쓸모 없는 시설이 될 경우 막대한 유지보수비는 어떻게 할 것이며, 엄청난 사업비 들여 새만금바다를 간척하여 농지를 만들려는 상황에서 기존 농지를 없앤다는 것은 반드시 재고되어야 하고, 만약 기어이 사업을 추진하려 한다면 확실한 생계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덧붙였다.
만경강 저산지구 하천환경 정비사업은 올 7월 부터 오는 2016년까지 총사업비 170여억을 투입, 약 2.9km구간에 수변생태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며, 하천부지는 71농가가 63만5995㎡(약 160여필지)를 경작 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 사업과 관련, 경작자들에게 3.3㎡(1평)당 9280원을 보상비로 지급할 예정이며, 농민들이 개간한 부분에 대해서는 증빙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단 한푼도 지급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