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근대역사박물관 4월 21일까지
박물관은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렸던 쌍천 이영춘 박사의 숭고한 삶을 조명하기 위해 유가족들이 박물관에 기증한 유품들을 정리해 지난달 21일부터 오는 4월21일까지 전시회를 갖는다.
농촌위생연구의 선구자로 알려진 쌍천 이영춘 박사(1903~1980)는 한국 농촌의료봉사의 선각자로 1935년 33세의 젊은 나이에 군산 일본인 농장 부설 의료원에 부임해 군산, 김제, 정읍지역 가난한 소작인들을 치료했다.
이어 1939년 우리나라 최초로 양호실과 양호교사제도를 도입 운영했으며, 1948년 한국농촌위생연구소를 설립했다.
특히 결핵, 매독, 기생충을 3대 민족의 독으로 규정하고 농촌보건 위생사업을 추진했으며, 농촌봉사활동에 필요한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1951년 현재의 군산간호대학을 설립했다. 1973년부터는 우리나라 의료보험사업의 효시가 된 의료조합사업을 하기도 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쌍천의 삶, 기도하는 삶, 선구자의 삶, 봉사하는 삶, 예술인의 삶 등 다섯가지 주제로 구분했다"며 "일제강점기 나라 잃은 백성의 아픔을 치료했던 쌍천 이영춘 박사의 삶을 통해 우리나라 근대 의료사와 농촌 실정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