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월세를 내고 자취하는 대학생의 월평균 주거비 지출 비중은 40%에 육박해 학생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려면 기숙사 수용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지경 부연구위원은 7일 '부모 비동거 대학재학생의 주거유형 및 주거비 부담 현황' 보고서에서 "지난해 전국 4년제 대학과 2·3년제 전문대재학생 중 부모와 따로 사는 학생 833명을 실태 조사한 결과 평균 주거비는 전체 소비지출 60만3천원의 30.5%인 21만4천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30대 가구주 가구의 소비지출 대비 주거비·수도광열비 지출 비중이 10.6%인 것과 비교하면, 부모 비동거 대학생은 청년 가구의 세배가 넘는 주거비 부담을 지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8만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역시는 24만6천원, 중소도시는 20만4천원, 읍·면은 18만3천원이었다.
부모와 따로 사는 대학생들은 주된 주거형태는 기숙사나 월세 자취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