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폐쇄회로TV(CCTV) 통합관제센터에 관제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감시를 통한 사건발생 보고와 긴급 상황 접수로 범죄 예방과 선제라는 애초 목적에 부합하는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12월 현재 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 어린이 공원, 골목길 등 폐쇄회로TV 758대가 설치돼있다.
관제업무 요원은 9명으로 3조 2교대 근무를 하고 있다. 1인당 관제 CCTV는 252대이다. 전국 관제센터 평균 1인당 감시하는 CCTV 100여 대를 훌쩍 넘는 수치다.
더구나 안전행정부가 권고하는 관제인력 1인당 기준 48대 CCTV 관제와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전문가들은 1인당 2개의 모니터로 24개의 분할화면을 실시간 관제하는 시스템이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하다고 조언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주시는 내년도 예산 4억 7700만원으로 편성(지난해보다 1억 6380만원 증가), 1월부터 CCTV를 기존보다 126대를 추가 설치(총 884대), 관제 요원도 6명 충원했다.
전주시는 관제요원 1인은 PC 1대에 24인치 모니터 3대를 사용, 64대의 CCTV를 관제할 수 있으나 영상 식별이 어렵다는 점 때문에 1대의 모니터에 9대씩 총 27대의 CCTV를 표출하고 20~25초 후 다른 카메라 영상 창으로 전환, 관제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충원 인력을 반영해도 1인당 감시할 CCTV 숫자는 176대에 달한다. 여기에 주간 조에게 제공해야 할 점심시간과 야간 조 휴식시간을 제외하면 사실상 1인당 관제할 CCTV는 급격히 증가한다.
근무 시간도 12시간에 달하다 보니 효율적인 관제가 사실상 어렵다는 지적이다.
전주시 통합관제센터관계자는 “9대의 모니터를 초 또는 분 단위로 전환하며 모니터링 하다 보면 실시간 관제에 여러모로 어려운 점이 있다”며“이런 현실을 반영해야 하지만 예산 확보 어려움이 있어 반영되진 못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