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블랙박스 카메라 이어 초소형 캠코더 설치 성과 향상
![]() |
||
| ▲ 전주시가 쓰레기 불법투기 단속을 위해 초소형 캠코더를 설치했다. | ||
야간 및 새벽시간대를 틈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쓰레기 불법투기에 대한 전주시의 단속장비가 현실 상황에 맞게 진화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현재 전주시는 불법투기 단속에 공무원들의 심야단속과 함께 CCTV 감시카메라를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인력 및 예산 부족으로 한계가 있다. 단속에 효과적인 고화질 CCTV 감시카메라의 경우 설치비가 대당 1300만원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실정이다. 고화질 CCTV 감시카메라는 57대가 설치돼 있다.
이 같은 상황속에서 공무원들의 아이디어가 빛을 발했다.
전주시 완산구는 지난해 블랙박스가 설치된 공용차량을 단속에 투입했다. 공용차량을 단속 사각지에 주차시켜 차량내 블랙박스를 통해 불법 투기행위를 적발한 것. 성과는 있었지만 화질이 선명치 못해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이에 덕진구는 올초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블랙박스형 감시카메라를 도입했다. 설치비는 대당 275만원으로, 화질이 뛰어나고 적은 비용으로 여러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올 5월에는 농가 및 공장 등에서 방범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초소형 캠코더(WS-6210)를 들여왔다. 시범 운영 결과, 1대만으로 총 35건의 불법투를 적발하는 등 성과를 거둬 추가 설치키로 했다. 설치비용이 70만원에 불과하지만, 적외선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야간·심야시간 등 24시간 단속이 가능하다. 화질도 200만 화소급으로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고, 자가설치가 용이해 취약지 해소 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이 같은 단속장비는 민원이 발생하는 현장에서 직원들이 발견한 아이디어”이라면서 “변화하는 쓰레기 불법투기 유형에 신속하게 대응해 불법투들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