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나 증권사 등이 판매하는 보험인 방카슈랑스에 가입할 때 가장 크게 불만을 느끼는 점은 창구직원의 설명미흡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방카슈랑스의 소비자 불만 246건을 분석한 결과 은행과 증권사 직원의 상품 설명 불충분에 따른 불만이 65.1%로 가장 많았다고 18일 밝혔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해당 보험상품의 설명 미흡(34.6%), 예·적금으로 오인하도록 설명(25.6%), 사업비·판매수수료 미고지(4.9%) 등이 꼽혔다.
상품설명 미흡에 이어 청약철회·해지 시 환급금 불만(17.9%), 보험실효에 따른불만(3.7%), 대출거래 시 비자발적 가입(2.8%) 등이 뒤따랐다.
소비자원은 또 최근 1년동안 은행이 판매하는 방카슈랑스에 가입한 적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가입 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가입 경로로는 '은행창구에 서 권유받음'이 41.8%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자발적 가입(37.0%), 은행직원의 전화권유(14.2%), 친구나 이웃의 추천(13.4%) 등의 순이다.
은행창구에서 권유받아 방카슈랑스에 가입한 응답자가 당초 은행을 방문한 목적은 대부분 예·적금 가입(81.3%)으로, 의도하지 않게 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보험 가입을 권유받은 창구도 과반수가 예·적금 대출을 취급하는 일반 창구(58.4%)였다.
이들이 은행직원에게 받은 권유 내용은 예·적금 또는 펀드보다 유리하다(55.7%), 예·적금과 유사한 상품이다(14.6%), 대출을 받거나 대출금리 인하 조건이다(10.4%)였다.
그러나 이들 중 가입 당시 보험임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는 응답자(49.3%)보다 설명을 들었으나 보험과 예·적금의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거나 예·적금으로 알았다는 응답자(50.7%)가 많았다.
이와 함께 소비자원은 상위 10개 은행에서 판매하는 방카슈랑스 상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홈페이지·안내서의 중요정보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해당 상품이 얼마인지 구체적으로 표시한 은행을 찾기 어려웠다고 전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은행직원이 방카슈랑스 가입권유 시 보험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설명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고, 사업비와 판매수수료 등 중요정보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표시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