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와 정읍시에 따르면 공동체정책을 입안하는 중앙부처 외에도 자치단체와 공동체사업 중간지원기관, 현장주민들도 정책형성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공식적인 채널(channel)이 마련됐다.
송죽마을은 지난 4월 박근혜 대통령이 시·도의장단 간담회에서 지역복지를 실현하는 우수 공동체 사례로 언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송죽마을 공동체운영사례와 행자부 정책방향, 광주·전남 ‘전북지역의 공동체 사업내용이 소개됐다.
광주 서영대학교 이용연 부총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의에서는 ‘공동체관련 단위사업별 규제 완화’와 ‘광역단위 공동체사업 추진체계마련’ 등이 건의되기도 했다.
행자부 김성렬 지방행정실장은 출범식에서“지방자치의 패러다임이 제도자치에서 생활자치로 변화하고 있다”며 “주민참여에 기초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야 말로 생활자치의 핵심인 만큼 정부차원에서 종합적 지원·관리를 시행하고 우수사례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앞으로도 격월 단위의 권역별 정책네트워크회의를 통해 주민들의 공동체 사업현장을 직접 찾아 격의 없는 현장 목소리를 들을 계획이다.
또 ‘공동체 정책네트워크’에서 논의된 사항 중 중요내용은 중앙-지방 정책조정협의회에 공식안건으로 상정하는 한편 지역공동체 기본법제정 등 제도마련 과정에도 반영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