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미당 서정주(1915~2000)의 첫 번째 시집인 ‘화사집’ 여러 판본 중에서도 특제본을 최근 구입·수집했다고 18일 밝혔다.
도서관은 “화사집의 다른 판본 표지가 황갈색 능화판 하드커버인 것과는 달리 특제본은 그 표지가 유화 캔버스로, 책등은 비단으로 장식되었으며 책등의 서명은 붉은색 실로 수(繡)를 놓아 만들었으니 말 그대로 호화장정의 특별 제작 판본이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941년 오장환이 남만서고에서 간행한 화사집은 그 판본이 다양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당시 판본을 보면 “100부를 한정 발행하되 1~15번은 저자 기증본, 16~50번은 특제본, 51~90번은 병제본, 91~100번은 인행자(발행인) 기증본으로 본서는 그 중 ○번”이라는 식으로 명시하고는 각각의 번호를 매겨 놓았다.
이 가운데 저자기증본, 병제본은 현존해 그 모습을 확실히 알 수 있었으나, 특제본은 학계에 간간이 떠돈다는 얘기만 있을 뿐 실물을 확인한 사람이 드물었다“면서 ”다만 미당이 생전 그 모습을 복원해 만든 복각본이 남아있을 뿐이었다.
도서관 관계자는 “1930~40년대엔 화가·시인들이 자신의 분야를 넘나들며 서양문화를 함께 향유했는데, 그 가운데 남만서고의 주인 오장환은 특별한 존재였다”면서 “김만형, 최재덕 등 당대 신진 화가들과의 교유는 물론 출판미술에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헌사’, ‘와사등’, ‘화사집’을 예술성이 높은 장정으로 출판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