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추진하는 등급별 '평가인증제'도 눈길 / 전주시·기사들 "친절 향상 노력…고충 알아달라"
도내 일부 택시기사들의 불친절한 서비스 문제는 오랫동안 고질적인 병폐로 거론되고 있지만, 뾰족한 해결책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택시업계와 전주시의 개선노력에도 불구, 서비스 불만을 잠재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15일 전주시와 업계에 따르면 택시업계 스스로 경찰 등 관계기관과의 모범운전자 활동은 물론 친절차량 스티커 부착, 수험생 무료 수송, 사내 친절 소양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불편 민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불친절과 관련해서는 업계의 더욱 적극적인 노력과 행정당국의 대책 마련 등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택시의 불친절 문제는 최근 서울시가 오래 묵은 숙제를 털기 위해 마련한 정책을 눈여겨 볼만하다.
서울시는 150곳의 법인 택시업계를 대상으로 올해 ‘불친절 요금 환불제’를 시행하고 있고, 내년 상반기에는 서울시 전 업체를 대상으로 ‘평가 인증제’를 도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불친절 요금 환불제는 승객이 택시에서 불친절을 느꼈다면 해당 택시회사로 부터 택시비를 환불받는 제도다. 택시의 서비스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면 택시요금을 받지 않겠다는 뜻이다.
평가 인증제는 택시 탑승 후 승객들의 민원이 서울시청에 접수되면 법인택시 평가(AAA등급~무등급)에 이를 반영, 서울시가 발급하는 등급별 인증제 스티커를 차량에 부착시켜 기사들의 책임감을 심어주는 제도다. 도내 택시 누구나 부착할 수 있는 단순 친절 스티커와는 다소 온도차가 있다.
서울시 택시정책팀 공성국 팀장은 “불친절 요금 환불제를 도입한 업체는 평가 인증제에서 가점이 붙는데 현재 서울시 255개 법인택시업체 중 150곳이나 참여했다”면서 “서울은 특히 택시 민원이 많아 이 같은 조처를 내렸다”고 말했다.
택시의 불친절 문제를 바라보는 기사들의 시각은 다소 다르다.
전주시 법인택시 기업노조 박인구 위원장은 “ ‘친절’자체가 기준치가 있지 않은데다 성격이 제 각각인 4000여 명의 기사들도 나름의 고충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액관리제 도입 지지부진과 24시간 운행(속칭 하루차), 고용불안 등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행정당국의 지원이 없다”고 토로한 뒤 “서비스 향상을 위한 우리들의 노력도 알아달라”고 덧붙였다.
택시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전주시내버스에 도입중인 버스 대타협위원회 같은 협치제(거버넌스) 구상이나, 친절 서비스 기사 제도 도입도 고려해 볼 만하다는 지적이다.
전주시청 대중교통과 이재수 계장은 “택시기사들이 겪는 고충도 우리 사회가 조명해줘야 한다”면서 “그러나 노조와 함께 고객 친절도 향상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끝>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