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흙같은 밤바다에서 길잡이 되어주는 등대.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는 1903년 인천광역시 중구 팔미도에 세워진 ‘팔미도 등대’다. 이후 1906년 제주도 우도에 ‘우도등대’가 불을 밝혔고, 같은해 부산의 ‘영도등대’도 점등됐다.
해양수산부가 <한국의 아름다운 등대 16경> 을 정리했다. 거친 바다, 긴 항해의 여정에서 만나는 등대는 안도와 휴식을 주는 영원의 불빛이다. 해양수산부는 뱃사람의 길잡이인 등대를 시민들이 해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시키고있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역사와 건축양식, 풍광이 아름다운 등대 16곳을 선정해 소개하는 소책자를 발간했다. 한국의>
책자에는 부산항의 상징이 된 ‘오륙도등대’와 국토 최남단을 지키는 ‘마라도등대’, 서해의 최북단 등대인 ‘소청도등대’, 여수 밤바다를 밝히는 ‘오동도등대’, 남해의 매물도에 세워진 ‘소매물도등대’를 가볼만한 곳으로 추천하고 있다. 그리고 충남 태안의 ‘옹도등대’, 국토 최 동단에 위치한 ‘독도등대’도 아름다운 등대 16경에 이름을 올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