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8:1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전북 인구 50년새 25.7% 감소, 장기적 대책 세워야

지난해 말 기준 186만 9711명 / 앞으로 5년 인구 위기 골든타임 / 10개 시·군 30년내 소멸 우려도 / 가임여성·농촌인구 맞춤 정책을

유엔(UN) 산하 유엔개발계획(UNDP)은 세계 인구 50억 명 돌파를 기념해 1987년 7월 11일을 세계 인구의 날로 제정했다. 한국도 2012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을 개정해 이날을 인구의 날로 정했다. 제5회 인구의 날을 계기로 저출산·고령화 현실에 직면한 전북지역 인구의 변화상을 살펴본다.

 

2015년말 기준 전북지역의 인구는 50년 전인 1965년 251만 6528명보다 25.7% 감소한 186만 9711명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에는 3014명이 감소해 전년 1분기 1787명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또한 지난해 기준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 군산, 익산, 완주를 제외한 10개 시·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임실군 31.48%, 진안군 30.95%, 순창군 30.36%, 무주군 29.50%, 고창군 29.40% 등의 순으로 높았다.

 

UN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 이상~14% 미만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20% 미만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보고서를 통해 전주, 군산, 익산, 완주를 제외한 도내 10개 시·군이 인구 붕괴로 30년 안에 소멸할 수 있다는 극단적인 전망도 내놨다. 전북의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인구 절벽’이 현실화되는 것이다. 전북 사망자 수는 2000년 1만 4384명에서 2014년 1만 3563명으로 보합세를 보인 반면 출생아 수는 2000년 2만 4936명에서 2014년 1만 4231명으로 가파르게 감소했다.

 

이러한 출생아 수 감소는 일자리와 교육 문제에 따른 가임 여성의 감소가 직접적인 영향으로 지목된다. 실제 전북의 가임 여성 인구는 2000년 52만 8816명에서 지난해 41만 6955명으로 15년 사이 21.2% 줄어들었다.

 

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농촌의 중장기 인구 변화에 대응한 지역 활성화 과제’ 보고서를 통해 전북의 읍·면 농촌 인구가 2013년 58만 1000명에서 2023년 49만 9000명, 2033년 39만 6000명으로 평균 0.08%씩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오는 2033년의 면 인구 규모가 2013년 대비 약 56~58%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농촌의 공동화, 과소화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앞으로의 5년을 인구 위기의 골든타임으로 인식하고 가임 여성 인구, 읍·면 농촌 인구 등 명확한 정책 타깃화를 통한 인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출산장려금 등 일회성 대책에 골몰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마스터 플랜에 입각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전북연구원에 인구 담당 연구원을 지정하는 한편 저출산, 귀농·귀촌, 청년 유출, 기업 유치 등 4개 분야로 나눠 인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전북혁신도시와 같은 시·군별 인구유입단지(타운) 조성 방안 등도 함께 검토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