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14개월여 만에 1100원선 아래로 떨어지면서 우리나라의 수출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는 달러당 1,095.4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5월 22일 달러당 1,090.1원 이후 14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대감이 희석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투자 심리가 강화된 영향으로 최근 원/달러 환율은 빠른 속도로 내려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의 하락은 물가를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글로벌 수요가 줄어들어 수출이 부진을 겪는 상황에서 수출기업의 어려움을 더 가중시킬 수 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의 하락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하향 추세에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원/달러 환율은 국제유가의 하락과 중국의 경제 부진, 미국금리 인상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2월 29일에는 장중 1,245.3원까지 치솟아 5년 8개월 만에 1240원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