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보복 노골적 경고 / 화장품업체 등 우려 커 / 복수비자발급 거절도
미국의 사드배치와 관련, 중국내 반한감정이 팽배해지면서 중국 시장을 겨냥한 도내 업체들이 큰 어려움에 봉착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은 한국내 사드 배치와 관련해 관영 매체를 통해 한국 제재 및 한류산업 규제, 비관세 장벽 강화 움직임을 노골화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도내 업체들로서는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10일 한국무역협회 전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의 수출실적은 총 79억5224만9000달러인데, 이중 도내 소재 기업의 대 중국 수출 금액은 총 12억7473만4000 달러에 달하고 있다.
전북의 수출액중 중국 수출의 비중은 16%에 달해 가장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도내 기업은 물론, 경제단체 등은 사드여파가 전북 업체의 수출과 중국현지에서의 판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특히 중국이 공공연히 경제보복을 경고하면서 도내 중소업체들은 고정거래처가 확고한 대기업 등에 비해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중국 국민들에게 고조되고 있는 반한감정은 잘 나가던 전북지역 화장품·생활용품 업체에 당장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전북본부 손용운 과장은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반한감정이 고조될 경우, 한류바람을 타고 실적이 좋던 도내 기업들에게 피해가 돌아올 것”이라면서 “중국 이외의 다양한 판로를 개척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드배치 결정이 이뤄진 이후 중국당국은 한창 중국현지에서 인기리에 판매중인 전북의 한 화장품 업체에 대해 복수비자 발급을 거절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화장품 회사 관계자는“갑자기 중국입국을 위한 복수비자 발급 조건이 엄청 까다로워 졌다”며“현지 시장조사를 위해 꼭 복수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계속 거절당하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한국무역협회 전북본부 관계자는 “중국비자 발급을 맡고있는 한 대행사에서 도내 소재 기업들에게 중국복수비자는 발급이 어려우니 아예 신청도 하지말라는 안내문이 돌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처럼 대중국 수출이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관련 기관에서는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전북경제통상진흥원 해외시장팀 임현미 팀장은“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철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며“현재 전북도와 함께 현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