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씨년’은 1905년 을사년에서 나온 말이다. 즉 을사조약을 체결한 해 라는 데서 나온 말이다.
을사년에 정부가 일본과 을사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는데 그 을사조약은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강탈하고 내정간섭까지 가능하도록 만든 조약이었다.
그 을사년이라는 말이 ‘을씨년’으로 변화한 것이다.
을사조약이 체결되던 해에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된 것이고 이 때문에 국내의 분위기가 어수선하고 나라를 잃은 허탈한 슬픔에 잠겨있는 국민들이 많았다. 그런 분위기를 을사년의 분위기와 비교하여 을사년스럽다고 했고, 그 말이 변화하여 을씨년스럽다라는 말로 변화한 것이다.
그렇다고 을씨년스럽다는 말이 비속어는 아니다. 유래가 위와 같을 뿐이지 을씨년스럽다라는 말은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요즈음은 남 보기에 매우 쓸쓸한 상황이나 혹은 날씨나 마음이 쓸쓸하고 흐린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