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새 대출비중 3배 상승 / 소득 감소·부채부담에 '이중고'
최근 가구주가 20대나 30대인 젊은 가계가 저축은행을 찾아 돈을 빌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은 대표적인 고금리 금융기관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궁지에 몰린 젊은층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가계대출(건수기준)에서 은행 비중이 74.6%로 가장 높았고, 비은행금융기관(13.5%), 보험회사(3.6%), 저축은행(1.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중 저축은행 대출 비중을 가구주의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세 미만의 가구는 0.7%로 2015년 3월(0.2%)보다 0.5%포인트(p) 올랐다.
30∼39세 가구는 2015년 0.8%에서 올해 2.7%로 1.9%포인트 상승했다.
20·30대 가구에서 저축은행 대출 비중이 1년 사이 3배가 넘는 수준으로 치솟은것이다. 반면 40·50대 가구에서는 저축은행 대출 비중이 떨어졌다.
가구주가 40∼49세인 가구는 1.7%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고 50∼59세 가구는 0.9%로 0.3%포인트 낮아졌다.
60세 이상 가구의 경우 지난해 1.2%에서 올해 1.4%로 0.2%포인트 높아졌다.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전국의 2만가구(금융부문 1만가구, 복지부문 1만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령대별로 저축은행에서 빌린 금액이 발표되지는 않지만 대출 추세는 파악할 수 있다.
20·30대 가구의 저축은행 대출 비중 상승은 부채의 질이 나빠진 상황을 반영한것으로 보인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소득·저신용 가구들이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을 많이 찾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 10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5.51%로 예금은행(3.08%)의 5배 수준이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은행 대출 비중이 높아진 것은 고금리를 감수하고서라도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 몰린 계층이 늘어났음을 시사한다”며 “젊은층이 취업하지 못했거나 취업이 안정적이지 못한 상태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젊은 가구들은 부진한 소득과 빚 부담 악화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