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 백운면 손내마을서 고원형 옹기 23년 외길인생
진안고원형 옹기장 이현배 씨가 지난 6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돼 진안 문화계가 큰 경사를 맞았다.
이현배 옹기장은 23년 동안 진안군 백운면 손내마을에서 옹기점을 운영하면서 작품을 만들어 왔다. 이 옹기장이 만든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열린 개인전시회를 통해 수차례 사람들에게 선을 보여 진 바 있다.
옹기로 외길 인생을 걸어 온 이 씨는 그동안 여러 가지 공적을 쌓아 왔다. 대형 옹관 복원이 그 중 하나. 이 옹기장은 대형 옹관에 큰 관심을 기울여 국립나주문화재 연구소와 협력해 이를 복원하기도 했다.
또 이 옹기장이 만든 작품은 2008년 유네스코 우수공예품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손내옹기라는 이름으로 출품한 달항아리와 전골솥이 그것이다.
이번에 이 옹기장이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받게 된 것은 문화재 심의회의에서 이와 같은 실적을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옹기 제작에 대한 실기 능력이 기본적으로 뒷받침 됐음은 물론이다.
이 옹기장의 스승은 전남 보성의 박나섭 씨. 이 옹기장은 1991년 옹기 제작에 입문해 스승인 박 씨로부터 남부식 옹기의 정형을 전수받았다. 그 후 1993년 백운면에 손내옹기라는 이름으로 제작소를 차려 이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이 옹기장은 진안고원형 옹기에 큰 관심을 가지고 이를 연구해 왔다. 이 옹기장이 생산하고 있는 진안고원형 옹기는 남부식보다 어깨가 훨씬 발달한 게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