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은 지난 2013년 211만8931명에서 2015년 216만 7968명으로 5만명 증가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제대로 생성되지 못해 눈이 뻑뻑하고 건조하며 시려지는 등의 증상을 말하는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여름엔 에어컨, 겨울엔 히터가 만들어낸 건조한 환경 또한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할 경우 각막 상처나 각막 염증 등이 유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시력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일단 전자기기 사용 시에는 중간 중간 쉬는 시간을 갖고 눈을 자주 깜박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실내가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에 신경을 쓰면서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환기도 자주 시켜야 한다. 증상이 심할 때는 인공눈물을 넣어 눈에 물기를 주고 표면을 고르게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