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통리 중평가마터 전체 길이 43m 규모
전라북도 기념물 제134호인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마을 청자 가마터(이하 중평가마터)에서 호남지역 최대 규모의 초기 청자가마가 확인됐다.
제5차 문화재 조사를 벌이고 있는 전북도와 진안군, 국립 군산대학교박물관(관장 곽장근), 국립 전주박물관(관장 김승희) 합동조사팀이 중평가마터가 호남지역 최대 초기 청자 도요지임을 확인했다.
10일 전북도에 따르면 중평가마터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문화재 조사가 진행되면서 초기 청자가마 2기가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초기 청자, 청자를 구울 때 덮는 용기인 갑발, 가마 축조재료인 벽돌 등이 출토됐고, 호남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청자가마터로 조사됐다.
이번에 시행된 제5차 문화재 조사에서는 지난 2016년 제4차 조사에서 절반 가량만 확인됐던 2호 가마의 전체 규모, 구조, 성격 등이 규명됐다.
조사 결과 중평가마터의 규모는 전체 길이 43m, 경사도 12°내외로 확인됐고, 성격은 전형적인 초기 청자가마의 속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조는 초장기에 벽돌로 축조되었던 것이 이후 진흙가마로 다시 만들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 기의 가마가 벽돌가마에서 진흙가마로 변화한 것은 국내 최초 사례다.
가마 주변에서 대규모 폐기장으로 사용되던 곳에서도 잔, 잔받침, 주전자, 벽돌 등 다양한 도구들이 발견됐다. 특히 큰 대(大)자 등 명문이 새겨진 청자와 벽돌가마의 불창(가마 안을 보는 구멍)으로 추정되는 벽체는 향후 초기 청자가마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인태 전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진안 지역에서 청자가마터가 발굴된 것은 호남지역 청자사 연구에 큰 의미를 지닌다”며 “올해 9월과 10월께 국가사적으로 신청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발굴 현장에서는 전북도와 진안군, 국립 군산대학교박물관, 국립 전주박물관 조사관계자 및 마을 주민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문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이종민(충북대 교수), 장남원(이화여대박물관장), 김규호(공주대 교수) 자문위원 등도 참석했으며, △유적의 성격 △향후 조사방향 △보존 대책 등에 관한 학술적 의견이 오고갔다. /진안=국승호 기자·김세희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