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가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인 경남 국립진주박물관에서 보존처리된다.
4일 고창군에 따르면 고창 무장현 관아 발굴을 전담하고 있는 호남문화재연구원과 진주국립박물관이 ‘비격진천뢰’의 연구와 보존·전시를 위한 업무 협약식을 체결했다.
앞서 고창군은 지난 2005년부터 무장현 관아 발굴 관련 연차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유적의 복원정비 사업을 진행해 왔다. 발굴을 담당한 호남문화재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군사시설 터를 확인했고, 지난해 말 희귀 유물인 11점의 비격진천뢰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후 문화재청과 고창군, 호남문화재연구원은 지도위원회와 현장 협의를 거쳐 임진왜란 문화재 연구에 특화된 국립진주박물관과 비격진천뢰의 보존처리·연구를 공동 진행하기로 했다.
앞으로 국립진주박물관은 비격진천뢰의 과학적 조사, 보존처리와 공동 전시를 진행한다. 또 조사 성과를 토대로 고창군과 호남문화재연구원은 학술세미나를 주관한다. 협약 기간은 총 2년으로 조선시대 최첨단 무기였던 비격진천뢰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최영창 국립진주박물관장은 “좀 더 정밀하고 과학적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밝혀내지 못했던 조선시대 무기 연구에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