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기준 기업 2곳 입주(전국 828개)
전북혁신도시 입주기업 실적이 전국혁신도시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최근 1년 사이 혁신도시 기업입주 건수는 전남광주와 경남을 중심으로 크게 늘었다.
30일 자유한국당 김상훈 국회의원(대구 서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 혁신도시 입주기업 현황에 따르면 전북혁신도시 입주기업은 두 곳에 불과했다. 반면 지난해 412개였던 전국 전체 혁신도시 입주기업 수는 1년 만에 828개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특히 경남혁신도시 입주기업이 크게 늘어나 지난해 3월 기준 13개에서 올해 218개로 전국에서 중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입주기업 수도 전국혁신도시 중 가장 많았다. 광주전남 역시 같은 기간 86개에서 205개로 급증했다. 부산은 107개에서 139개로 32개사가 증가했으며 대구는 102개사에서 130개사로 28개사가 추가로 입주했다. 강원의 경우 30개사에서 44개사로 늘었다.
이들 혁신도시의 공통점은 혁신도시 특성과 연계한 기업유치 활동에 이전기관들이 적극 나섰다는 점이다.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이 기업유치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정부차원의 종합대책이 다시 수립되지 않은 채 실무차원의 움직임만으로는 한계가 클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기업 없는 전북혁신도시’는 이미 예고된 상황이었다. 전북혁신도시는 농촌진흥청 본청과 소속기관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기업이 도시 인근에 터를 잡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이다. 실제 전북도 조사결과에서도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농진청에 시제품 제조와 농자재를 납품하는 종업원 20인 미만의 소기업이었다.
이들 업체는 상대적으로 부지매입비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입장에서는 지가가 비싸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클러스터 부지는 대기·수질·폐기물·소음·진동 등 관련법에서 규정하는 공해배출 업소는 입주가 불가능하다. 혁신도시 이전기관과 연계한 유치업종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도정 역량으로만 기업입주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인 셈이다. 전북혁신도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갖고있는 농진청과 국토정보공사 전기안전공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협력도 절실하다.
다만 전북테크비즈센터와 전북금융센터 입주가 시작된 이후에는 이러한 상황이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 클러스터5·6부지는 완주군과 전북개발공사가 매매협약을 체결해 연구소와 유관기업 유치가 이뤄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