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존도 상대적으로 낮지만 탈일본 기술화 나서
대체재 대책 마련 돌입…수입 다변화 등 모색
일본의 경제보복 장기화 전망에 따라 산업용 핵심 소재와 부품, 기계 등을 일본에서 수입해 사용하는 도내 기업들이 기술 국산화와 수입다변화 등 맞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도내 기업들의 일본 의존도는 타 지역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일본의 경제보복을 탈일본 기술화의 기회로 삼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전북도와 도내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에 따라 뿌리·화학·탄소·전자부품·자동차·조선 산업분야 등 도내 1344개 기업 가운데 37개 기업이 크고 작은 영향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야별로는 뿌리기계 산업 분야 453개 기업 중 약 22개 기업이 일본소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재료의 일본 수입비중이 낮지만 일부기업에서 일본산 제조설비를 사용하고 있어 유지보수 부품의 공급이 지연될 경우 제품 생산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화학산업의 경우 151개 업체 중 11개 업체가 일본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화학원료는 일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이 존재해 일부 기업에서는 일본산 원료 수급문제로 제품생산에 차질이 예상된다.
또 탄소관련 산업 분야 137개 업체 중 5개 업체가 일본소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탄소섬유 원료, 수소차 부품 등의 소재를 타깃으로 규제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도내 R&D기관과 경제계는 중·단기 계획을 통해 제3국가의 선진부품 등 수입다변화와 국내산 대체품 발굴을 통한 공급선 다변화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입장이다.
도내 R&D 기관 관계자는 “현재 전북도와 경제단체, 기업 간 협의를 통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본제품을 국내에서 만들어 사용하는 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번 대체재 마련을 통해 국내 소재부품 발전을 이룬다면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재 일본에서 수입한 완제품을 사용하는 기업이 상당 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에 따른 대응책으로 기업과 R&D기관 등이 모여 제품 국산화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어떤 품목이 규제될 것인지 모니터링 하면서 재고 물량 확보, 원천기술 도입 등을 통한 대응도 준비하고 있다”며 “대체재 마련을 통해 도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