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관 비좁아 1만여 점 중 300점만 전시
확장 통해 상설 및 기획 전시 등 개최해야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의 전시관 확장 및 전시·기획 등에 대한 전반적인 재정비가 요구된다.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은 일제에 의해 자행된 문화·경제적 강제 수탈의 아픔을 엿볼 수 있는 1만여 점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시 공간 부족으로 유물 전시가 한정돼 제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월 개관한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은 군산시 금광동 동국사 인근에 총 26억 원(국비50%, 도비10%, 시비40%)의 예산을 들여 지상 3층, 전체 건물면적 1868㎡ 규모로 1·2층은 주차장, 3층은 전시실·세미나실 등으로 꾸며졌다.
현재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된 대한역사연구소가 위탁운영하고 있으며, 월평균 5000여 명이 방문하고 있다.
특히 이낙연 국무총리는 최근 1년 새 2차례나 역사관을 방문, 건축 과정을 지켜보는 등 일제 만행을 알리는 침탈 자료 전시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이 총리와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끈 역사관에는 일제가 쌀 수탈을 위해 벼 25가마를 내도록 명령한 ‘벼 공출 명령서’, 1937년 조선총독부에서 만들어 조선인들에게 강제로 외우게 한 ‘황국신민서사’를 비롯해 당시 ‘군산부지법인시가도’ 및 사진 등 희귀 유물 1만여 점이 있다.
그러나 전시 공간이 비좁아 상시 전시가 이뤄지지 못해 관람객들이 전시실에서 볼 수 있는 유물은 300여 점(전체 유물의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00여 점은 전시실에 나오지도 못한 채 수장고(유물 보관실)에 보관돼 있다.
예산부족을 이유로 건축 규모가 애초(4층)보다 축소돼 644㎡밖에 되지 않는 3층 전시관을 수장고, 사무실, 세미나실 등으로 나눠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역사관 확장을 통해 더 많은 자료를 전시하는 것은 물론 단순 전시를 넘어 다양한 프로그램과 접목, 상설 및 기획전시 등을 개최해 역사교육 현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관람객 김 모씨는 “경제 침탈을 자행 중인 일본의 과거 조선 수탈에 대해 더 알고 싶어 방문했지만, 전시된 유물이 너무 적고 유물에 관해 설명해주는 해설사도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박천환 대한역사연구소장은 “역사관 확장을 통해 더 많은 유물을 관람객에게 보여주고 일제 치하에서 자행된 강제 수탈의 아픔과 일본 제국주의에 강력히 저항한 우리의 역사를 되새기는 기회와 함께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