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서신동 감나무골 재개발 조합의 관리처분 인가 계획이 3번째만에 조합원 총회를 통과하면서 사업추진에서 가장 넘기 힘든 고비를 넘어섰다.
감나무골 재개발 조합원들은 지난 9일 조합원 총회에서 조합 집행부가 제시한 관리처분 계획을 원안 가결시켰다.
조합이 제시한 비례율은 135.02%로 조합원 재산평가가 2억 원이라면 아파트 입주에서 1억3500만원을 인정받는 것이다.
다만 전 조합장 해임과 관련, 당시 비대위가 사용했던 1억여 원의 비용은 부결처리됐다.
관리처분 계획인가는 총회를 열어 조합원들에게 분양되는 대지나 건물에 대한 배분계획을 수립해 승낙해 달라고 인가를 신청하는 것이며 조합원 개개인의 재산가치를 평가하는 예민한 문제여서 분쟁이 일어날 소지가 가장 많다.
이 때문에 감나무골 재개발조합도 지난 2015년과 2017년에도 관리처분 인가를 추진했지만 불발에 그치면서 조합장이 해임되는 등 진통을 겪어왔고 사업추진이 답보상태에 놓여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관리처분 계획이 조합원 총회를 통과 하면서 이주 및 철거에 이어 본격착공이 진행되는 등 사업추진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지난 2006년 전주시로부터 예비정비 구역 지정을 받아 전주 서신동 일대 낡은 주택을 헐고 대단위 아파트를 건설하는 재개발 사업이 추진돼 왔던 전주 감나무골 재개발 구역은 인근에 전주 이마트와 전주 롯데백화점이 위치해 있는 데다 서부신시가지와 구도심을 연결하는 중심지역에 위치해 전주의 마지막 노른자위 지역으로 평가받아왔다.
특히 사업 초기당시 삼성물산을 공동사업자로 선정해 전북지역 최초로 삼성 래미안 아파트가 들어설 것으로 기대를 모으면서 관심이 증폭됐던 지역이다.
그러나 당시 아파트 분양시장이 장기간 침체 되면서 분양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삼성물산이 발을 빼면서 한때 시공사를 구하지 못해 사업추에 발목이 잡혔고 당시 조합장의 조합원 인가 도용사건까지 터지면서 조합원들간 불화까지 가세해 오랜기간 사업이 제자리에 멈췄었다.
이 때문에 사업진행에서 앞서왔던 인근 바구멀 재개발 구역이나 태평1구역에 비해 아파트 분양에는 오히려 뒤차를 타게됐다.
전주감나무골 재개발 사업은 공동사업자인 포스코와 한라건설이 전주 서신동 일대 300여 가구의 오래된 주택을 헐고 그 자리에 3개단지 지하 3층~20층 아파트 28개동 총 1986세대를 신축하는 사업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