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부품공장 가동중단으로 현대차 전주공장 지난 7일부터 가동중단
도내 협력업체는 당장 임금지급부터 걱정하는 상황
"자치단체 지나친 낙관론 경계해야" 지적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중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부품을 조달하지 못한 전북 자동차업계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당초 지난 6일부터 11일까지 휴업에 들어가 12일부터 재가동을 예상했으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군산 타타대우자동차 역시 부품비축물량이 모두 소진될 경우 공장가동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최근까지 중국 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어,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자동차 부품 수급계획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10일 국내자동차업계와 전북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의 국내 모든 공장이 ‘셧다운’에 들어갔다. 현대차 전주공장 대형 버스 생산라인은 이날부터 11일까지 가동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와이어링 하네스’로 불리는 중국 수입 자동차 부품의 수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 전체의 신경망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차량 내 전기신호와 전력을 전달하는 게 주요 기능이다. 이 부품은 설계 단계부터 차량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대체품을 찾기 어렵다. 일부 공장에서는 중국과 배트남 등지에서 생산되는 ‘와이어링 하니스’가 국내에 긴급 반입돼 숨통이 트였지만, 해당 부품은 승용차 전용으로 상용차를 생산하는 전북에는 해당되지 않았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사용하는 부품은 국내 업체 제품으로 중국 하남성에서 생산되고 있다.
전북도의 안일한 상황 파악도 자동차업계의 혼선을 빚어내고 있다.
전북도는 이날 중국에 있는 ㈜경신에서 ‘와이어링하네스’를 공급받는다고 발표했지만, 현대차에 따르면 ㈜경신은 승용차 부품을 주로 공급하고 전주공장에서 생산되는 대형상용차 전용부품은 다른 업체에서 공급받고 있다.
도내 161개 협력업체들은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당장 근로자 임금지급부터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노사는 당장 12일 재가동이 어렵다 판단하고, 추가 휴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논의되고 있는 휴업 일정은 카운티·일반버스·고속버스 라인은 이달 12일부터 19일까지, 초저상차와 쏠라티 라인은 같은 달 12일부터 27일까지다. 다만 노사가 설정한 휴업기간은 중국 내 부품공장 가동상황에 따라 다소 유동적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