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매업체 피해, 소상공인에 비해 몇 배 더 커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 및 식음료 유통 등 도소매업체 지원 못 받아
“전년 동기간 대비 매출액 감소 등 증빙 통한 직접 지원책 마련해야”
코로나19 확산세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 휴교·휴업에 들어간 학교 및 소상공인들에게 식자재 및 음료·주류 등을 납품하는 도소매 업체의 피해가 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소상공인들의 피해 구제를 위해 각종 지원책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및 소상공인들을 상대로 각종 식자재를 납품하는 도소매 업체(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 및 음료·주류 유통업체 등)는 재난안전기금은 물론 공공요금 등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사각지대에 놓였다.
전년도 연평균 매출액이 2억 원 이상이라는 이유에서다.
도소매 업체들은 한 개 업체가 다수의 소상공인을 상대로 자재를 납품하는 형태다.
학교 및 소상공인 1개 업체가 휴업하면 이들을 대상으로 물건을 납품하는 도소매 업체들은 최소 10곳 또는 그 이상의 납품처가 문을 닫는 셈이다.
이 때문에 도소매 업체의 매출 감소 피해는 소상공인 1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몇 배 더 크다.
실제 A업체는 군산지역 내 10여 개 학교에 김치를 납품해 왔지만 개학이 연기되면서 지난 한 달간 5000여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들은 생존을 위해 개인 대출을 신청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각종 증빙을 갖춰야하고 신용등급이 낮거나 기존 대출금이 있을 경우 대출 신청을 받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실정이 이렇다보니 도소매 업체들은 자구책으로 직원을 감축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실직자 양산 등 2차 피해가 도미노처럼 발생하고 있다.
학교급식 납품업체 대표 이연희 씨(33)는 “2월부터 학교 급식 납품을 위해 준비한 김치를 모두 폐기처분해야 할 처지다”며 “코로나19로 직접적인 피해를 더 크게 입고 있는 도소매 업체는 정부를 비롯한 모든 지원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음식료 유통업체 대표 양 모씨(58)는 “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매출액이 30~50%이상 감소한사업체에 대해 매출 감소 피해 증빙 서류(홈텍스 신고액)를 통한 직접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도소매업 등에 종사하는 소상공인 139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관련 소상공인 경영상황 실태조사’를 조사한 결과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감소했다는 답변(2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