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노후화로 빙면 교체 작업 중, 바닥 불균형 등 문제제기
시민 안전 직결되는 문제로, 시 공사 중단·하자 검증단 구성
21억 원을 투입한 전주 빙상경기장의 노후시설 교체사업이 부실 공사 의혹으로 중단됐다.
특히 국제경기 유치 등을 위해서는 빙질 관리가 가장 중요한데, 빙면 교체 공사 중 바닥 수평이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보완공사 또는 재시공이 거론되고 있다.
전주시는 25년 된 빙상경기장이 빙면 융해현상이 발생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 우려가 커지자 2018년 10월부터 환경개선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공개입찰을 통해 선정한 A시공업체가 올 연말까지 빙면교체, 지붕누수, 조명등·제습설비 교체 등을 완료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완공을 코앞에 두고 공사가 중단됐다.
전북지역 빙상경기 관계자로부터 부실시공 의혹이 제기돼서다. A업체 측은 전면 부인했지만, 전주시·A업체·빙상경기 관계자가 공동 현장점검을 한 결과 바닥 부분별 단차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전주시가 최근 A업체에 공사 일시정지 통보를 내렸다.
빙상경기 관계자는 “결빙층 아래에 깔리는 콘크리트의 레벨 단차 측정값이 오차의 범위를 벗어나면 결빙층의 품질 문제가 발생한다”며, “콘크리트 층 위에 까는 빙판을 깎아 수평을 맞추면 되지 않느냐고 반박하는데, 이렇게 되면 전체적인 빙질과 빙판강도가 맞지 않고 부분 융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주빙상경기장의 바닥 레벨 측정 결과로는 국제경기를 유치에 적합하지 않고, 시민 안전상의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용도에 맞지 않는 자재나 폐자재 사용 등도 주장되자, 전주시는 시공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검증단을 꾸려 하자 여부나 추가공사 가능성 판단에 나서기로 했다.
A업체 관계자는 “레벨 단차는 기술적인 부분 등 여러 가지 조건이 작용할 수 있다”며, “부실시공이나 하자는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이어 “관계자들이 대면하는 공청회 자리에서 전문가들로부터 오해와 사실들이 밝혀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공청회는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으나 조속한 공사 마무리를 위해 이달 안으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