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와 완주를 매일 오가는 통근·통학 인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두 지역의 생활권이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세 차례나 무산된 전주-완주 통합이 지난해 전주 특례시 지정 불발을 계기로 다시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분석 결과여서 눈길을 끈다.
전북연구원이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특정한 두 지역 간의 통근·통학 인구를 분석한 전북지역 생활권 조사 결과 전주와 완주의 지역연계성이 도내 시군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전주와 완주를 오가면서 출퇴근하거나 학업을 진행하고 있는 통근·통학 인구가 2015년 기준 3만5676명으로 조사됐다. 지난 1995년 1만8069명에 비해 20년 새 두 배를 넘는 102.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주-완주간 통근·통학 인구는 도내 시군 전체 통근·통학 인구 12만2937명의 29%를 차지한다. 도내 통근·통학 인구 10명중 3명 꼴로 매일 전주-완주를 오가는 셈이다.
생활권 분석이 지난 1995년과 2015년 인구를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최근 상황이 반영되지 못했지만 전주 에코시티 건설과 전북혁신도시 조성 완료로 6년 전보다 전주-완주를 오가는 인구가 더 많아졌다는 점에서 통근·통학 인구는 더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 전북혁신도시가 더욱 활성화되고 전주 에코시티 2단계 개발과 전주역세권 개발 등이 진행되면 전주-완주 생활권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다.
타 시·도의 경우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초광역 도시 구축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대구·경북과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은 행정구역 통합이나 메가시티 건설 등을 통한 지역경쟁력 확보 논의가 활발하다. 광주·전남과 충청권 사이에 낀 전북은 어느 쪽에도 다가가기 어려워 내부 광역화를 통한 독자권역 조성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전주시의회 양영환 의원은 지난달 26일 열린 임시회에서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완주군민들의 동의가 없는 전주-완주 통합 추진은 갈등만 부를 가능성이 크다. 전주-완주의 생활권 분석 결과를 계기로 전북의 독자 광역화를 위한 차분하고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